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역격차의 공간구조: 2000년과 2014년의 비교 (Spatial Structure of Regional Disparities: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2000 and 2014)

5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7.05
59P 미리보기
지역격차의 공간구조: 2000년과 2014년의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학 / 51권 / 2호 / 95 ~ 153페이지
    · 저자명 : 김재훈

    초록

    지금까지 지역격차는 경제학적 관점에서 다루어져 왔다. 이 논문은 사회학적 관점과 방법으로 지역격차에 접근하고자 시도했다. 경제학은 효율성의 관점에서 지역격차를 지역 간 소득의 불균등한 분포로 정의하지만, 사회학은 관계성의 관점에서 지역계층구조에 근거한 관계적 불평등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위치적 접근을 통해 지역들의 계층적 지위와 이것이 지역격차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했다.
    경제위기 이후 지역격차의 공간구조는 서울을 정점으로 하는 단핵형의 계층구조였다. 생산중심지와 저소득지역에서 생산된 소득이 분배소득을 통해 대부분 서울로 유출되지만, 광역대도시에 일부 유입되어 광역대도시권과 인근 지역의 체계적인 소득격차를 낳게 되었다. 지난 15년 동안 공간구조의 변동에서 가장 뚜렷한 양상은 서울과 지방간의 소득격차가 빠르게 확대되어온 점이다. 역외소득 중에서 요소소득의 유출입은 지역격차를 확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해 왔는데, 2010년 이후 그 추세는 더욱 가속화되었다. 서울은 모든 지역의 영업잉여가 집중되는 곳으로서 계층구조에서 차지하는 단핵 지위는 더욱 강화되었다. 지역격차의 주요한 측면은 서울과 지방의 격차이고, 지역격차가 확대되어 온 원인은 요소투입량의 차이 때문이 아니라 가치의 순환과정을 통해 재생산되는 지역계층구조 때문이다. 지역격차는 연결망을 구성하는 중심, 반 주변, 주변의 지위에 의해 재생산되는 구조적 불평등이다. 지역격차의 공간구조는 역외소득의 유출입, 생산과 지출의 두 차원에 의해 구성된 행렬구조이며, 가치순환의 연결망에 의해 구조화된 지역계층구조이다. 이 논문의 분석결과는 위치적 접근에 근거한 지위분석이 지역격차에 대한 사회학적 설명 모델로서 대안적 가능성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국의 일부 주류경제학자들은 지역격차는 지역 간 산업특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이므로 해결해야 할 문제로 볼 수 없다고 주장하지만, 지역격차는 지역계층구조에 의해 구조화된 불평등이므로 심각한 사회문제이다. 지역격차의 경로의존성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내생적 발전과 다핵 공간구조로의 전략적 전환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issue of regional disparities in Korea, which has been studied from the economic perspective, by sociological perspective and methodology. Economics defines regional disparities as unequal distributions of income, but sociology may define them as relational inequalities structured by regional hierarchies.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hierarchical status of regions and its effects on regional disparities through positional approach. The summary of its result follows below.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regional disparities after the economic crisis was the mono-polar structure with Seoul as a single core. It is noteworthy that GRDP(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produced in the periphery has been siphoned mostly to Seoul due to regional income outflow, but some of it flowed into metropolitan cities has resulted in systematic income disparities between these cites and the surrounding local areas. The inflow and outflow of factor income between regions, as part of offshore income, has been a critical impact on the polarization of spatial structure of regional disparities(SSRD). In particular, we find the significant fact that this trend has been increased rapidly since 2010 due to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 major aspect of SSRD is the disparities between Seoul and the rest. It can be argued that the regional disparities in Korea have been expanded not simply because of the distribution in the amount of locational requirements but because of the regional hierarchy that is reproduced through circulation of value based on spatial division of labor. The regional disparities are structural inequalities that have been reproduced by status networks, which are built up by that of the core, semi-periphery, and periphery. SSRD is a matrix structure composed of two dimensions of ‘inflow and outflow of regional income’ and ‘production and expenditure of value', and is a hierarchy among the regions as mentioned abov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positional approach based on the relational perspective may be an alternative model for regional disparities.
    According to some mainstream economists’ argument on regional disparities, it is allegedly suggested that regional disparities in Korea should not be regarded as a social problem since it is a natural phenomenon structured by the locational requirements of production. However, the study result suggests that it should be regarded as a serious social problem, for the regional disparities are structural inequalities that have been reproduced systematically by regional hierarchy. In order to hold back the path dependency of regional disparities, it is critical to make a strategic transition to endogenous development and a multi-polar spatial struc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