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中國의 韓國硏究 (1990년-2009년을 중심으로) (Trends of and Changes in Korean Study in China (focusing on 1990-2009))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8 최종저작일 2012.01
20P 미리보기
中國의 韓國硏究 (1990년-2009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사상∙문화 / 13호 / 1 ~ 20페이지
    · 저자명 : 구광범

    초록

    본고는 최근 20년간(1990년-2009년) 중국의 한국 연구 성과에 대한 전반적인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서 한국 연구와 관련한 중국내 가장 대표적인 학술지 2종에 게재된 논문 862편을 선정하고 또한 같은 기간에 발표된 석‧박사학위논문 1,235편을 포함한 총 2,097건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방법에 있어서는 논문의 성격에 따라 사상‧철학‧종교, 정치, 문화‧교육‧예술, 경제, 어문학, 역사‧지리, 과학 7개영역으로 분류하고 1990-1999년까지를 2000년 이전, 이후 2000년-2009년까지 10년을 2000년 이후의 성과로 구분하여 중국의 한국관련 연구 성과와 주제별 특징 및 그 추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물론 중국의 한국연구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중국내 한국관련 모든 학술성과를 대상으로 삼아야 하지만 분석 대상으로 선정한 자료의 양만 하더라도 적지 않은 분량이기 때문에 이를 통해 중국에서의 한국학 연구의 전반적인 관심과 추이 변화를 파악하는 데는 큰 무리가 없으리라 생각된다.
    연구 주제별로 분류한 2,097건의 연구대상은 2000년 이전 377건에서 2000년 이후에는 1,720건으로 5배가 넘는 양적 증가가 있었다. 게재지 유형별로는 석사학위논문이 2000년 이전 55건에서 2000년 이후에는 1,068건으로 무려 20배가 넘는 양적 증가를 보였으며, 학술지 논문의 경우에는 2000년 이전에 317건에서 2000년 이후 10년에는 545건으로 대폭 증가하였다. 주제별로는 2000년 이전 10년의 연구 성과에서는 정치가 83건(22%)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사상‧철학‧종교분야, 경제 순으로 나타났다. 2000년 이후 10년 기간에는 경제가 481건(28%)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정치와 어문학이 그 뒤를 이었다. 이러한 양적 통계의 결과를 통해 우리는 중국의 한국관련 연구에 있어서 가장 큰 관심분야는 현실문제인 정치, 경제분야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었다.
    연구방법의 특징은 2000년 이전에는 주로 소개성 연구나 자료정리 차원의 연구가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연구자료 활용에 있어서는 2차 자료를 활용한 사례가 많게 나타났다. 그러나 2000년 이후에는 1차 자료 활용 비율이 높아지면서 논문의 수준 또한 소개성 차원을 뛰어넘어 한층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아울러 1990년 이후 중국의 한국 연구는 질적인 제고와 함께 양적으로도 급속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을 이 시기에 발표된 성과물 통계를 통해 알 수가 있었다.
    본 연구는 중국의 한국연구 2,097건에 대해 주로 주제별 통계에 근거하여 최근 20년간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이다. 따라서 중국의 한국학 연구 상황에 대한 아주 세심한 부분까지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고 본다. 그러나 최소한 중국인이 한국의 어떠한 분야에 관심을 갖고 있는지, 그리고 어떠한 특징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전반적인 흐름과 동향을 파악하기에는 큰 무리가 없다고 판단하여 본고의 의미를 둔다.

    영어초록

    People generally see that Koreanology in China started late 1970’s or early 1980’s. In the early stage, colleges in northern area lead the study for the whole Korean peninsula. Humanities occupied the majority at that time, such as history or linguistics, which were performed mainly in the form of translation and introduction of South/North Korean books.
    This turned to be more active in late 1980’s, which was influenced by the rapid economic growth of Korea, and was accelerated much more into necessity by the Asian Games and Olympic Games held in 1986 and 1988, respectively. Research institutes spread out from the northern area, and most prominent colleges in the area started to produce study results about Korea.
    Chinese studies about Korea before 1990 can be summarized that studies began to separate North from South, and studies get diversified from humanity to include versatile areas. The level of study also upgraded from translation and introductory stage to questioning and analyzing.
    After 1990, takeoffs incomparable to those of early stage have been showing, which is mainly because of diplomatic tie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1992. The number of books about Korea published in China explains it; 194 books were published for 10 years since 1980 through 1989, while 416 books were out into the world for next 10 years which is more than 2 times of preceding 10 years, and 1,533 books for the following 10 years since 2000 through 2009 which exceed previous one by 3.7 times. From linguistics and history in the early phase, studies also expanded to almost every area including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If broken down by subject, politics occupied the biggest portion with 22% for 10 years before 2000 while economy is standing in the first place with 28% of portion for 10 years after 2000. From Chinese study results, we can see that its major concerns on Korea are focusing on politics and econom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