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환향녀 서사의 존재 양상과 의미 (The Existence Patterns and Meanings of Narratives of Returning Ladie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0.12
32P 미리보기
환향녀 서사의 존재 양상과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고대학 / 60호 / 9 ~ 40페이지
    · 저자명 : 이명현

    초록

    이 논문은 환향녀(還鄕女)는 분명히 존재했고, 환향녀에 대한 조선후기의 사회적 논쟁도 격심하였는데, 정작 환향녀에 대한 기록과 서사는 찾기 어렵다는 문제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병자호란 이후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속환녀(贖還女)에 대한 기록을 검토하였다. 귀환 여성에 대한 이혼 논쟁 등을 분석한 결과, 병자호란 이후 조선의 지배층과 남성 주체는 성리학적 질서의 유지를 위해서 환향녀에게 정절을 지키지 못한 책임을 전가하고 이들을 공식적인 담론에서 배제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의 기록, <유록전>, ≪기문총화(記聞叢話)≫ 소재 <이서천만지(李舒川萬技)>를 분석하여 순절부인(殉節婦人)의 이면, 여성 피로인(被擄人)과 환향녀의 경계, 실절(失節)의 심각성을 살펴보았다. 순절부인들의 자결 이면에는 가부장 사회의 강요된 선택이 작동하고 있다. 끌려간 여인들은 국경 안에서 자결해야만 자신의 정절을 증명할 수 있었고, 국경을 넘었을 경우 조선과 청 어디에도 속하지 못하는 부정한 존재가 되어버린다. 실절한 여성 피로인은 자신을 희생하여 남편을 돌려보내는 경우에만 기록되었다.
    마지막으로 회절강(回節江) 설화, 실록의 의순공주 기록과 족두리 무덤 설화, 사모바위 유래담을 분석하여 근대 이후 환향녀 서사가 설화화(說話化)되는 양상과 기억의 주체에 의해 왜곡, 변형, 삭제 등의 재구성을 통해 형성되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근대 이후 설화화한 환향녀 서사는 환향녀의 삶을 이해하고, 그녀들의 관점에서 서사적으로 재현하지 않는다. 남성 중심의 기존 질서 체제 안으로의 통합, 민족주의 관점에서 열녀 만들기 등의 방식으로 서사화된다. 이러한 까닭으로 남성 주체가 환향녀들을 찾고자 하지만, 그녀들의 실체를 확인하지 못하고 소문과 흔적만 존재할 뿐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inspired by difficulties with finding records and narratives about returning ladies despite their certain existence and fierce social disputes over them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Trying to address the difficulties, the study first reviewed records about Sokhwan ladies(returning ladies after payment) after Byeongjahoran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e study analyzed the divorce controversy over returning ladies and found that the ruling class and male subjects of Joseon transferred the accountability for lost fidelity to returning ladies to keep the Neo-Confucian order after Byeongjahoran, excluding them from official discourses.
    The study also analyzed records in Yeonryeosilgisul, Yurokjeon, and Iseocheonmanji in Gimunchonghwa, examining the hidden side of ladies that died in defense of their chastity, boundary between female Piroins(women abducted and taken to China) and returning ladies, and severity of lost fidelity. There was a choice forced by the patriarchal society working behind the suicide of ladies that died in defense of their chastity. Once taken to China, ladies had to kill themselves before reaching the border to prove their fidelity. After crossing the border, they were turned into unfaithful beings that belonged to neither Joseon nor Qing. Female Piroins that had their fidelity taken were recorded in documents only when they sacrificed themselves to ensure the return of their husbands back to Joseon and requested a favor for their fate to their husbands.
    Finally, the study analyzed the tale of Hoijeolgang, the records of Princess Uisun and the tale of the tomb of Korean bridal crowns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story of the origin of Yearning Rock, looking into the patterns of the narratives of returning ladies becoming tales since the modern times and the meanings of these narratives established through their reconstruction including distortion, transformation, and deletion by the subjects of memories.
    The narratives of returning ladies that were turned into tales since the modern times showed no understanding of their lives and did not reproduce their lives narratively from their own perspective. Instead, their stories were made into narratives in ways of incorporating them into the old male-dominant order and system and making virtuous women out of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nationalism. This explains why there are only rumors and traces of returning ladies left even though male subjects tried to find them only to ascertain no truth of returning lad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고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