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학교폭력 경험과 드라마적 재현에 관한 수용자 인식 연구: 넷플릭스 드라마 <더 글로리>에 대한 대학생 감상평을 중심으로 (A Study on Audiences’ Perceptions of the Dramatic Representation of School Violence: Focusing on University Students’ Reviews of the Netflix Drama )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4.03
42P 미리보기
학교폭력 경험과 드라마적 재현에 관한 수용자 인식 연구: 넷플릭스 드라마 &lt;더 글로리&gt;에 대한 대학생 감상평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방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방송학보 / 38권 / 2호 / 196 ~ 237페이지
    · 저자명 : 정영희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학교폭력 이슈와 학교폭력을 소재로 한 넷플릭스의 드라마 <더 글로리>에 대해 수용자들은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대학생들의 드라마 감상평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용자들은 한국에서 학교폭력 논의는 활발하나 사회적 문제로서보다는 사건으로만 인식되어 유명인의사례에만 관심이 집중되며, 기성세대는 학교폭력의 심각성을 잘 인지하지 못한다고 평가했다. 수용자들은 학교폭력이 적극적으로 논의되지 못했던 이유로 그에 대한 기성세대의 낮은 감수성을지적했다. 대중문화의 주 소재로 부상한 이유로는 학교폭력을 실제 경험한 새로운 세대 등장과 웹툰의 부상, OTT 플랫폼 등장으로 인한 경쟁 심화, 폭력적이고 자극적인 것에 대한 시청자의 기호발달을 이유로 들었다. 하지만 학교폭력이 대중문화의 주 소재로 부상하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현하여 20대 안에서 학교폭력에 대한 감수성이 발달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 글로리>의 학교폭력 재현에 대해서는 소위 ‘떡밥’이 깔끔하게 회수되어 완성도는 높으나, 학교폭력 가해자와 피해자를 ‘기득권층 가해자-가난한 피해자’로 이분법적으로 재현한 것은 실제 학교폭력 발생 상황과 다르며, 그러한 재현이 피해자에게는 2차 가해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더 글로리>에 대한 수용자분석을 통해 학교폭력을 실제 경험하는 청소년 집단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실재하는 민감한 소재를 콘텐츠로 만들 때 유의할 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d what audiences thought about Netflix’s drama <The Glory>, which dealt with school violence. For analysis, university students’ drama reviews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tudents evaluated that although discussions on school violence are active in Korea, it is perceived only as social incidents rather than a social problem to be solved, so it is focused only on cases of famous people, and the older generation is not well aware of the seriousness of school violence. The reason why school violence was not actively discussed was the older generation’s low sensitivity to school violence. The reasons for its` emergence as a main subject of popular culture were the emergence of a new generation who actually had experienced school violence, the rise of webtoons, intensifying competition due to the emergence of OTT platforms, and the development of viewers’ preferences for violent and provocative things. However, the students expressed concerns about school violence emerging as a main topic of popular culture, showing that sensitivity to school violence has developed among those in their 20s. Regarding the dramatic reproduction, the dichotomous representation of ‘school violence’s perpetratorᐨvictim’ as ‘established class perpetrator-poor victim’ could be a secondary harm to actual victims. Through audience analysis of <The Glory>, we are able to increase our understanding of the youth group that actually experiences school violence and draw out points to keep in mind when creating contents about sensitive material that existed in re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방송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