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넷플릭스 드라마 <스위트 홈>과 욕망의 윤리 - 아리스토텔레스와 순자 개념을 중심으로 (The Netflix drama "Sweet Home" and the ethics of desire - with Aristotle's and Xunzi's concepts)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3.06
37P 미리보기
넷플릭스 드라마 &lt;스위트 홈&gt;과 욕망의 윤리 - 아리스토텔레스와 순자 개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과 예술 / 46호 / 5 ~ 41페이지
    · 저자명 : 김정석

    초록

    넷플릭스 드라마 <스위트 홈>은 자본주의적 소비와 욕망에 가득 찬 현대인들을 내세움으로써 우리가 근본적으로 회복해야 할 것이 무언인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이 작품은 괴물들 사이에서의 인간의 사투를 그리고 있다. 이때 악(惡)의 존재는 다양한 괴물로 모습을 드러내는데 이는 인간변이에 기인하며, 이때 변이의 원인은 욕망으로 나타난다. 인간의 일상을 파괴하는 악의 형태는 인간 내부에 존재하는 욕망이 빚어낸 결과물이며, 욕망이 존재하는 한 악은 계속해서 탄생하기 때문에 이에 대항하는 인간은 안팎으로 끊임없이 싸워야만 하는 운명에 놓여 있다. 여기에 욕망에 대한 철학적 사유가 더해져 <스위트 홈>이란 드라마는 시청자를 인간에 대한 근원적이고도 보편적인 질문으로 이끌고 있다.
    인간은 삶을 영위하기 위해 사회질서를 유지해야 하는데, 그 기본적인 단초는 개인의 도덕적 실천에 놓여 있고 이는 욕망을 다스리는 일과 연관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는 고대로부터 동서양이 공통된 생각을 보여왔다. 아리스토텔레스와 순자는 욕망을 악의 근원으로 파악하고 이를 이성적으로 제어하고 다스릴 때 비로소 인간사회가 올바름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견해를 드러낸다. 그들에 의하면 인간사회는 비결정성을 특징으로 하는데, 어떻게 이성을 활용하느냐에 따라 사회는 악의 방향으로 흐를 수도 있고, 선의 방향으로 흐를 수도 있다. 그래서 인간은 조화로운 사회를 유지하며 삶을 영위하기 위해 욕망을 이겨낼 수 있는 강인한 의지를 필요로 한다. 왜냐하면 의지는 인간 행위에 동력을 제공하는 원천이 되기 때문이며, 이를 발현시키는 정도와 방향에 따라 욕망의 결과물 또한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스위트 홈>에 드러난 욕망과 그 윤리에 대해 논하기 위해 아리스토텔레스와 순자를 도입하려 한다. 논의의 진행은 크게 ‘욕망에 대한 통제’와 ‘악을 제어를 위한 실천’의 두 가지로 진행되며, 이는 이 시리즈물이 동서양을 포함한 보편적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었던 기본적 가치관을 구체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자신의 내부에 자라고 있는 악의 씨앗을 통제함과 동시에 이미 발화된 악의 형상들에 대항해야 하는 <스위트 홈> 속의 인간은 욕망에 대한 윤리적 요구와 마주함으로써 갈등과 성찰의 계기를 갖게 되고, 이는 스토리텔링을 통해 시청자에게 공유된다.
    이 작품이 다양한 괴물영화에 익숙한 서양에서까지 인기를 얻은 이유는 단순히 동양적 서사의 새로움 때문만은 아니다. 동서양을 막론한 모든 인류가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 윤리의 핵심을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천편일률적인 서양식 좀비 혹은 괴수의 등장에 흥미를 잃은 현대의 시청자들은 인간의 본질과 윤리적 성찰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B급 소재를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트위 홈>이 새롭고 진지한 스토리텔링의 비전을 제공하는 힘이 된다.

    영어초록

    The Netflix drama "Sweet Home" is talking about what we need to fundamentally recover from by presenting modern people full of capitalist consumption and desire. This work is based on human struggles among monsters. In this drama, the presence of evil is manifested through various creatures, originating from human mutations, and the cause of these mutations is revealed to be desires. The forms of evil that destroy human everyday life are the products of desires within humans, and as long as desires exist, evil will continue to be born. Therefore, humans who stand against it are destined to constantly fight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In addition, philosophical reasoning about desires is added, leading the drama 'Sweet Home' to guide viewers towards fundamental and universal questions about humanity.
    Humans must maintain social order in order to pursue life. The basic foundation lies in individual moral practice, which is related to controlling desire. This has been a common thoughts shared by both Eastern and Western societies since ancient times. Aristotle and Xunzi identify desires as the source of evil and assert that only when desires are rationally controlled and governed can human society maintain righteousness. According to them, human society is characterized by indeterminacy, and depending on how reason is employed, society can flow in the direction of evil or in the direction of goodness. Therefore, humans require a resilient will to overcome desires in order to maintain a harmonious society and pursue a fulfilling life. This is because willpower serves as the source of motivation for human actions, and the outcome of desires varies depending on the degree and direction in which it is manifested.
    This paper attempts to introduce Aristotle and Xunzi to discuss the desires and ethics revealed in "Sweet Home." The discussion will proceed in two main aspects: 'control over desires' and 'practices to regulate evil.' This could embody the basic values that allowed this series to form a universal consensus, including the East and the West. The humans in "Sweet Home", who must control the seeds of evil growing within themselves while simultaneously confronting the manifested forms of evil, gain a catalyst for conflict and introspection by facing ethical demands regarding desires, and this is shared with the viewers through storytelling.
    This drama has gained popularity even among western peoples who are accustomed to various monster movies. It is not just because of the unfamiliar novelty of the oriental narrative, but because it deals with the core of universal ethics that can resonate with all humanity, regardless of Eastern or Western cultures. In this process, modern viewers, who have lost interest in the stereotypical Western-style zombies or monsters, become aware of the necessity for an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and ethical contemplation. This is the power of "Sweet Home" that presents a vision of new and serious storytelling, despite using B-List materi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