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학자 히라타 아쓰타네의 신대문자 수집과 출판 ─ 근세 신대문자의 존재방식의 변화에 주목하여 (The Collection and Publication of Jindai moji by Kokugaku Scholar Hirata Atsutane : Focusing on the Changes in the Mode of Existence of Jindai moji in the Early Modern Period)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3.12
34P 미리보기
국학자 히라타 아쓰타네의 신대문자 수집과 출판 ─ 근세 신대문자의 존재방식의 변화에 주목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일본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역사연구 / 62호 / 51 ~ 84페이지
    · 저자명 : 윤조철

    초록

    본 논문에서는 신대문자의 ‘수집’과 ‘출판’이라는 관점에서 근세의 국학자 히라타 아쓰타네의 신자일문전 을 분석한다. 신자일문전 은 근세 신대문자의 역사에서 단연 중요한 의미를 갖는 문헌인 만큼 그동안의 연구에서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그런데 신대문자를 둘러싼 아쓰타네의 언설과 국학사상과의 조응에 초점을 맞추었던 기존의 연구들은 그의 신대문자론을 히라타국학의 논리적인 귀결로 여기거나, 더 나아가 근세 신대문자의 역사 전체를 히라타국학의 파생물이라고 보는 경우도 없지 않았다.
    신자일문전 은 당시의 주요한 신대문자 관련 자료와 문헌을 망라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저자인 아쓰타네의 신대문자 수집 및 고증 과정, 그리고 무엇보다 신대문자를 둘러싼 그와 지인들의 학문적 협력 관계에 대해 많은 것을 알려주는 소중한 정보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자일문전 에 실린 자료의 오류 및 허위 가능성에 유의하면서 이 책을 실마리 삼아 근세 신대문자의 역사를 탐구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아쓰타네가 신대문자의 역사에 있어서 하나의 결절점이었다고 파악하고 다음의 세 가지 방향에서 그것을 논증하고자 했다. 첫째로 신대문자는 근세 전기부터 특정한 종교적 권위와 결부된 비전의 형태로 존재했다. 아쓰타네의 신자일문전 은 신대문자의 존재(매개)방식을 비전에서 출판으로 이행시켰다. 둘째로 시간이 흐르면서 신대문자는 소수의 학자들 사이에서 고증의 대상으로 인식되었다. 신자일문전 에 수록된 신대문자 중에서 다수는 이런 고증적 관심 속에서 아쓰타네의 주변사람들이 자율적으로 수집한 것을 한데 모든 것이지 아쓰타네의 지시 하에 문인들에 의해 일괄적으로 수집된 것이 아니었다. 셋째로 신자일문전 의 핵심적인 아이디어와 자료는 사토 노부히로의 신자일문고 와 대동소이하다. 이는 만약 신자일문고 가 먼저 성립했고 아쓰타네가 그 책에 가필을 하는 형태로 신자일문전 을 집필했다면 신자일문전 의 신대문자론을 히라타국학의 귀결이라고 보았던 종래의 이해가 크게 수정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s Hirata Atsutane's Kannahifumiden(神字日文傳) from the perspectives of collection and publication of Jindai moji. Kannahifumiden holds paramount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Jindai moji in the early modern period, making it a subject of considerable interest in previous studies. However, prior research focused on Atsutane's discussions about Jindai moji and its alignment with Kokugaku philosophy without definitively concluding whether his Jindai moji' theory was a logical extension of Hirata Kokugaku or if the entire history of the early modern preriod Jindai moji should be viewed as a derivative of Hirata Kokugaku.
    Kannahifumiden not only compiles key contemporary Jindai moji–related materials and documents but also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Atsutane's collection and investigation process for Jindai moji, as well as the scholarly collaborations among him and his associates. Consequently, in this study, while being mindful of potential errors and inaccuracies in Kannahifumiden we utilize this work as a starting point for investigating the history of Jindai moji of the early mondern period.
    In this paper, we aim to establish that Atsutane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history of Jindai moji and present arguments in three directions. Firstly, Jindai moji existed in the form of secret teaching associated with specific religious authority from the early modern era. Atsutane's Kannahifumiden transformed the mode of existence (mediation) of jindai moji from secret teaching to publications. Secondly, over time, jindai moji became recognized as a subject of investigation among a group of scholars. Many of the jindai moji included in Kannahifumiden were collected independently by Atsutane's associates out of their own scholarly interest, rather than being uniformly collected under Atsutane's direction. Thirdly, the core ideas and materials in Kannahifumiden closely resemble those in Sato Nobuhiro's Kannahifumikou(神字日文考). This implies that if Kannahifumikou was writtetn first, and Atsutane wrote Kannahifumiden by copying from that book,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that Atsutane's jindai moji theory was a result of Hirata Kokugaku would require significant revi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