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요시쓰네(義経) 최후서사의 시대적 변용에 관한 연구 : 할복과 에조치 도해(蝦夷地渡海)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 of stories related to Yoshitsune’s final day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3.12
27P 미리보기
요시쓰네(義経) 최후서사의 시대적 변용에 관한 연구 : 할복과 에조치 도해(蝦夷地渡海)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일본공간 / 34호 / 101 ~ 127페이지
    · 저자명 : 박은희

    초록

    본 논문은 헤이안 말기 무장 미나모토노 요시쓰네(源義経) 최후 관련 서사의 특징을 할복설과 에조치(蝦夷地) 도해설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동시대 사료는 고로 모가와(衣河) 전투에서의 자살만을 간단히 전하고 있는 반면, 시간이 흐름에 따라 요시쓰네의 죽음은 다양한 방향으로 확장, 변용되었다. 요시쓰네 일대기에 해당하는 『기케이키(義経記)』의 경우 남북조 이후 유행한 할복이라는 자살 양식을 차용하여 무사의 명예로운 죽음으로 승화시키고, 항전이나 도망이 아닌 자살을 선택한 이유로 왕권의 절대성을 강조하였다. 근세에 들어 고로모가와 전투 이후 요시쓰네가 생존했다는 생존설이 폭발적으로 증가한다. 요시쓰네가 에조치(蝦夷地), 즉 홋카이도로 건너가 아이누인들의 신이 되었다는 이야기가 국학자들의 언설을 통해 확산되었다. 에조 치의 중요성이 커지고 아이누인들의 동화정책이 강화될수록 에조치에서의 요시쓰네의 상징적 의미는 더욱 커졌다. 요시쓰네 생존지는 홋카이도에서 중국대륙으로 확장 되고 마침내 요시쓰네 징기스칸설이 탄생하는데, 이들 생존설은 명백한 허구이지만 정치적 이슈와 연결되어 중앙에서 의도적으로 확산되었다는 점이 특징적이라 할 수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rrative related to Minamotono Yoshitsune. Yoshitsune, famous as a hoganbiiki, was active as a protagonist in various literary works from the Middle Ages. His death was also described and sprea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There is no specific description about his death, but his death was expanded and transformed over time in a way appropriate for each era.
    For example, in the case of 『Kikeiki』, Yoshitsune’s final days are decorated with hara-kiri and family suicide. Hara-kiri is a typical method of suicide among medieval warriors. It depicts Yoshitsune’s honorable death by adopting shara-kiri, which was not common at the time.
    The key to Yoshitsune’s final days in the early modern era is that he escaped to Hokkaido and survived. He did not die in the Battle of Koromogawa, but escaped to Hokkaido and became a god respected by the Ainu. As the political significance of Hokkaido grew, the story of Yoshitsune, who was respected by the Ainu, became more widespread. As the story progressed, Yoshitsune moved to China and became Genghis Khan. It was a lie, not a fact, but Japan, which invaded Manchuria, used this fact politically.
    Yoshitsune’s last days were recreat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