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식민지 조선의 신문연재만화의 즐거움과 욕망: <조선일보> 네 칸 만화 「멍텅구리」(1924~1927)를 중심으로 (The Pleasure and Desire of Newspaper Cartoon Strip in the Colonial Joseon: Focusing on Mungtungri (1924-1927) of Chosun Ilbo)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9.02
21P 미리보기
식민지 조선의 신문연재만화의 즐거움과 욕망: &lt;조선일보&gt; 네 칸 만화 「멍텅구리」(1924~1927)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사회과학연구 / 30권 / 1호 / 113 ~ 133페이지
    · 저자명 : 하종원

    초록

    본 연구는 주인공을 가진 한국 최초의 네 칸 신문연재만화인 <조선일보>의 「멍텅구리」를 분석할 목적을 갖는다. 식민지라는 엄혹한 상황 속에서도 근 3년여에 걸쳐 장수연재를 하며 독자들에게 즐거움을 주고 그들의 욕망을 발현시켰던 이 연재만화의 흡인력이 무엇인지에 대해 두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첫째는 식민지 조선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신문의 성격 및 신문만화의 관계라는 콘텍스트에 대한 고찰이며, 둘째는 이 만화의 대중적 소구력의 원천인 내용요소와 고유한 표현기법 및 형식적 특성에 대한 텍스트 분석이다. 1920년대 초반 조선어 신문들은 민중에 대한 지도적 역할 및 일제에 대한 비판적 기능을 요구하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그 역할을 수행하였다. 하지만 1920년대 중반으로 가면서 신문의 ‘상품성’을 인정하고 기업화․상업화․자본화를 추구하는 모습을 보이기 시작한다. 「멍텅구리」는 바로 그러한 전환기에 신문사들이 내놓은 가장 대표적인 문화상품이라 할 수 있다. 「멍텅구리」는 근대적 욕망을 구현할 수 있는 이야기를 통해 즐거움과 재미를 담보함으로써 커다란 대중적 소구력을 가질 수 있었으며, 다양한 시각적 기호와 언어적 표현을 활용하고 고유의 표현방식을 구축하여 네 칸 만화라는 장르적 특성을 극대화하였다. 「멍텅구리」가 탄생한 밑바탕에는 판매부수의 확장이라는 사업적 목적이 있었음은 분명하지만, 한편으로는 그 배경에 일제의 강력한 언론통제 하에서 불가피한 대안으로 취해졌다는 점도 지적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만 식민지 지배라는 정치적 현실에 대한 「멍텅구리」식의 발언이 엿보이며, 그 과정에서 조선인의 의식과 태도, 정서와 감정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그 일단을 읽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순한 코믹만화를 넘어선 「멍텅구리」에 담겨 있는 시사적 의미와 사회적 국면에 대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nalyzes Mungtungri (Fathead) of the Chosun Ilbo, Korea’s first four-frame newspaper cartoon strip. In the early 1920s, Korean newspapers functioned in a social atmosphere that demanded a leadership role and a critical take on Japanese imperialism. In the mid-1920s, however, newspapers recognized its function as a commodity and began to pursue commercialization and capitalization. Mungtungri was a representative cultural product of newspapers during such a transition period. It was able to have mass public appeal by providing users with fun and pleasure through stories that could realize modern desires, and by utilizing various visual symbols and verbal expressions. It is clear that the birth of Mungtungri was for the business purpose of expanding sales and profit. Although limited, however, critical remarks about the political reality in the colonial Joseon, and we can read how the consciousness, attitude, and emotion of the Korean people had changed in the process. Therefore, there is the need for a follow-up study on the social implications of Mungtungri beyond simple com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