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히라타 아쓰타네 『신자일문전』의 성립 사정 ─ 사토 노부히로 『신자일문고』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The Formation of Hirata Atsutane's Kannahifumiden: Focusing on its Relationship with Sato Nobuhiro's Kannahifumikou)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4.12
34P 미리보기
히라타 아쓰타네 『신자일문전』의 성립 사정 ─ 사토 노부히로 『신자일문고』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일본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역사연구 / 65호 / 235 ~ 268페이지
    · 저자명 : 윤조철

    초록

    본 논문에서는 일본 근세의 신대문자사(史)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는 국학자 히라타 아쓰타네의 『신자일문전』과 그의 문인 사토 노부히로의 저서 『신자일문고』의 관계에 대해서 고찰했다. 『신자일문고』는 그 내용이 『신자일문전』과 너무나 유사해서 스승의 저작을 표절했다는 의심을 사는 책이다. 그러나 두 문헌의 선후 관계를 확정할 만한 근거가 제시된 적은 없고, 『신자일문고』가 표절이기는커녕 『신자일문전』의 저본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신자일문고』가 표절작이라는 기존의 견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동시에 『신자일문전』의 성립을 둘러싼 여러 가지 의문을 해명하고자 했다. 2절 「『신자일문고』의 표절 여부에 대한 선행 연구의 견해」에서는, 『신자일문고』 표절설을 둘러싼 선행 연구를 개괄하고, 노부히로의 저작을 구체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3절 「『신자일문전』과 『신자일문고』의 개요」에서는 논의를 위한 밑 작업으로서, 『신자일문고』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정리하여 일별할 수 있도록 했다. 두 문헌은 전체적으로는 유사한 부분이 많지만 신대문자 자료의 배치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4절 「간테이의 『황화신대자집』」에서는, ‘『황화신대자집』 계통 문헌’이라고 부를 수 있을 만한 문헌들이 전해지고 있음을 지적하고, 『신자일문전』과 『신자일문고』에서 『황화신대자집』에 대해 언급한 내용이 현존하는 『황화신대문자』의 실제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을 실마리 삼아서, 그와 같은 서술상의 착오가 『신자일문고』에서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했다. 마지막으로 5절 「『신자일문전』의 진자체 관련 유문」에서는, 본고에서 ‘진자체 관련 유문’이라고 지칭한 자료들의 출처를 둘러싼 의문점을 지적하고, 유문이 재구성되는 양상을 분석하여 『신자일문고』가 먼저 집필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는 한편, 에도막부의 신도방이었던 요시카와가(家)와 신대문자의 관련성을 둘러싸고 두 사람의 서술이 차이를 보인다는 점을 지적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Hirata Atsutane's Kannahifumiden and his disciple Sato Nobuhiro's Kannahifumikou. Kannahifumiden is a significant work in the history of early modern Japanese studies on jindai moji(神代文字-“characters of the Age of the Gods”). Kannahifumikou bears such a strong resemblance to Kannahifumiden that it has been suspected of being a plagiarized work. However, no definitive evidence has been presented to establish the chronological order of the two texts, and it cannot be ruled out that Kannahifumikoumay have served as the source material for Kannahifumiden rather than being a mere copy.
    Thus, this study critically reviews the existing view that Kannahifumikouis a plagiarized work, while also addressing various questions surrounding the formation of Kannahifumiden. In Section 2, “Previous Studies on the Alleged Plagiarism of Kannahifumikou,” prior research on the plagiarism controversy is summarized, highlighting the need for a detailed analysis of Nobuhiro's work. Section 3, “Overview of Kannahifumiden and Kannahifumikou,” provides essential information on Kannahifumikou to lay the groundwork for further discussion. It confirms that while the two texts share many similarities overall,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rrangement of the jindai moji source materials. Section 4, “Kantei's Kouwajindaijisyu,” points out the existence of texts that could be classified as part of the “texts of the Kouwajindaijisyu lineage” and suggests, based on inconsistencies between the references to Kouwajindaijusyu in Kannahifumiden and Kannahifumikou and the actual content of the Kouwajindaimoji, that the textual errors likely originated in Kannahifumikou. Lastly, Section 5, “Regular Script Jindai moji Materials in Kannahifumiden,” raises questions about the sources of what this paper refers to as the “regular script jindai moji materials,” analyzing how these jindai moji materials were reconstituted and suggesting that Kannahifumikou may have been composed first. Additionally, it highlights the differences in how the two authors describ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oshikawa family, the Shintō authority of the Edo shogunate, and the jindai moji.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