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한 “에네르기” 담론의 변천사 (The Changing History of The “에네르기(Energy)” Discourse in North Korea)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0.06
36P 미리보기
북한 “에네르기” 담론의 변천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사회과학연구 / 28권 / 1호 / 8 ~ 43페이지
    · 저자명 : 박민주, 김석향

    초록

    이 연구는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 공적 영역에서 외래어 “에네르기” 표현이 급증하는 현상에 주목하여 그 시대별 의미의 변화를 밝히고자 했다. 해방 이후 2018년까지 『로동신문』 기사 제목에 “에네르기” 단어가 등장하는 사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당국은 2000년대 초반까지 석유파동, 해외의 원자력 개발사례 등 주로 국제적 동향을 보도할 때 간헐적으로 “에네르기” 표현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2000년대 중반부터 핵실험 의혹에 핵에너지 개발이라는 명분으로 대응하면서 “에네르기” 담론도 급증한다. 2010년 이후 노골적으로 핵 보유를 선전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 에너지 관련 해외동향 담론은 2002년 “악의 축” 규정 이후 수량이 증가하였다. 담론 내용은 미국과 서방세계를 비난하는 반미반제 성격이 뚜렷해지는 한편 미국과 에너지 분쟁 중인 러시아와 중동의 에너지 정책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언설이 등장한다. 2000년대 후반 이후 자본주의 국가를 정치적으로 비난하는 분량을 줄이고 해당 국가의 대체에너지 개발 동향을 보도하는 방식으로 내용이 달라진다. 셋째, 김정은 집권 이후 “에네르기” 담론은 급증하였고 내용도 북한 외부보다 내부에 초점을 맞추는 방식으로 변화하였다. 주민에게 에너지 문제와 관련하여 던지는 지침도 달라진다. 주로 절약을 권하던 담론은 2010년대 초반부터 자립을 강조하고 2015년 이후 헌납을 요구하는 내용으로 변모한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지난 70여 년 동안 북한당국이 에너지 부족의 해결방안을 근본적으로 모색하려 했던 것 같지는 않다. 오히려 김정은 집권 이후 마땅히 당국이 책임져야 할 기간 사업 영역까지 주민에게 떠맡으라고 강요하면서 민간의 부담과 해외 의존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대처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런 흐름을 감안할 때 향후 북한 에너지 부문의 자립은 상당히 요원해 보인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This study noted a surge in "energy(enerugi)" expressions in the Discourse in North Korea since Kim Jong-un took power. To reveal how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have dealt with the "Enerugi" discourse over time, This paper analyzed an article in the "Rodong Shinmun" that featured the word "Enerugi" in its title from 1946 until 2018. First, while the North's overall "energy" discourse was not big until 2000, the North's authorities have been hiding and denying its nuclear development in the name of a nuclear power since the 1950s and publicly promoting its nuclear arsenal since 2010. Second, the type of discourse that deals with overseas energy development cases emerged shortly after the oil crisis, dealing with global energy disputes from a political perspective, and has since developed discussions in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spects since the late 2000s. It also began to expand its list of cases to the west. Third, the guidelines the North Korean government gives to its people regarding energy issues recommend saving in the late 1990s, but in the early 2010s, they change to emphasizing self-reliance and requiring donations after 2015. Since Kim Jong-un's inauguration,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have emphasized the science and technology sector, but it appears to be asking its people to take over the business area during the period the authorities are responsible for. Summing up the findings,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appear to have not been deeply concerned about fundamental solutions to the energy shortage over the past seven decades. In the era of Kim Jong Un, in particular, the North Korean government is developing energy policies by increasing the burden of the people and dependence on overse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