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차성의 지리와 접합의 정치: 페미니즘과 지리학의 경계 넘기를 위하여 (Geographies of Intersectionality and the Politics of Articulation: Border Crossing between Feminism and Geography)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09.12
16P 미리보기
교차성의 지리와 접합의 정치: 페미니즘과 지리학의 경계 넘기를 위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역사지리 / 21권 / 3호 / 1 ~ 16페이지
    · 저자명 : 박경환

    초록

    연구 대상의 구분과 분류는 근대 학술 담론의 일차적 토대가 되어 왔다. 역사학에서 시대 구분이, 사회학에서 사회집단의 분류가 그렇듯, 지역의 구분과 규준에 따른 분류는 지리적 담론의 기저에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경계 긋기’로서의 지리학은 시간적 서사가 공간적 서사를 지배하고 재구성해 온 근대 에피스테메의 성립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글로벌 자본주의의 변동과 거대 서사의 붕괴는 사회·공간적 분절화라는 위협이자 기회를 파생해왔는데, 지리학과 페미니즘은 이의 학술적 논의를 확대, 심화하는 데에 크게 기여해 왔다. 지리학에서는 지리적 상상력으로서 시간적 서사에 도전하고 이를 재구성하고 있으며, 페미니즘에서는 차이와 주체화의 과정에 주목하면서 지배적 범주의 사회적 구성을 이론화해 오고 있다. 이는 시간적 서사의 헤게모니 하에서 여성과 공간은 오랫동안 수동적인 그릇, 소유하고 정복할 수 있는 대상, 길들여져야 할 대상으로 억압되고 주변화 되어 온 공통의 경험과 위치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여성과 공간, 그리고 페미니즘과 지리학은 경계 넘기라는 포스트모던의 정치의 풍부한 토양 위에 서 있으며, 한국 사회의 페미니즘이 지리학을 포함한 다양한 학문들과 더욱 활발하게 교육, 연구, 실천의 장에서 접합할 수 있기를 고대한다.

    영어초록

    Modern discourse in academic disciplines overall grounds on the distinction and classification of research objects. Not unlike history and sociology, which stand on classifying times and social groups respectively, modern geographic thoughts also overarch distinguishing and classifying regions on the earth. The hegemony of time-dominated narration in modern episteme is deeply related with such boundary-marking tradition in geography. Yet, the transformation of global capitalism and the collapse of grand narratives since the 1990s have engendered socio-spaital fragmentation, which is both a crisis and an opportunity in civil society. Among disciplines, geography and feminism have vibrantly contributed to developing discussions on such recent changes. Such vibrancy lies in the common historical situation in which these two disciplinary bodies have been repressed and marginalized. I hope that feminist theorists and activists would more actively dialogue and articulate with critical human geography and other social sciences in the realm of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역사지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