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간중심주의 비판을 넘어서 - 포스트휴먼·다종 인류학에 대한 비판적 검토 (Beyond the Critique of Anthropocentrism - A Critical Examination of Posthuman/Multispecies Anthropology)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5.03
44P 미리보기
인간중심주의 비판을 넘어서 - 포스트휴먼·다종 인류학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판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제와 사회 / 145호 / 240 ~ 283페이지
    · 저자명 : 전의령

    초록

    이 글은 포스트휴먼·물질적 전환의 주요 두 축인 탈인간중심주의와 탈비판이 포스트휴먼·다종 인류학에서 나타나는 방식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첫째, 비인간을 주요 대화상대자로 고려하고 그 행위성을 인간 행위성과 동등하게 고려하려는 경향을 ‘분석적 평등주의’라고 부를 수 있다면, 이 같은 시도는 현실의 구체성들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해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에스노그래피에서 어떻게 수렴될 수 있을까? 이에 대해 나는 ‘분석적 평등주의’를 통해 포스트휴머니즘 이론틀과 에스노그래피 사이의 일치를 시도하면 할수록 에스노그래피적 불충분성 혹은 정화의 문제를 피할 수 없으며, 그 속에서 상대적으로 배제되는 것이 인간 사회를 주요하게 구성하는 상징적·문화적 측면은 물론 그와 같은 성질들로 매개되는 권력과 정치의 문제라는 점을 살펴볼 것이다. 에스노그래피를 ‘다종 얽힘’ 혹은 ‘다종 스토리텔링’으로 환원하고자 하는 포스트휴먼 기획은 인간-비인간 관계를 여전히 주요하게 정의하는 사회적 관계들을 비가시화하거나 동시에 종적 존재로서 인간을 과도하게 부각시킴으로써 사회적 차이, 불평등, 이질성을 지운다. 둘째, 비판이라는 실천에 대한 (일견 적실해 보이는) 회의감은 포스트휴먼·다종 인류학에서 어떻게 구체화되는가? 이 글에서 나는 칭의 세계 끝의 버섯 (2023)에 대한 검토를 통해 포스트휴머니즘의 탈비판적 경향이 어떻게 환경파국과 자본주의 간 관계보다는 그 파국 속 다종 관계성과 세계-만들기로 관심의 초점을 이동시키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세계 끝의 버섯 에서 ‘협력적 생존’의 방안 혹은 ‘잠복해 있는 공유지’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으로서 제시되는 ‘알아차림의 기술’은 급진적으로 개별적·사적·감각적·감응적 실천으로서 ‘책무성으로서 행위성’과 정치적 주체화를 통한 집합적 행동의 가능성을 차단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 비판에 대한 포스트휴먼 회의감은 그것이 가리키는 문제들을 정면 돌파하기보다는 비인간과의 상호연결됨에 몸을 맡기는 낙관적 무기력감으로 나아간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seeks to critically examine ways in which post anthropocentrism and post-critique, the two main themes in the posthuman/ material turn, become manifested in posthuman/multispecies anthropology. First, how can the turn’s analytic egalitarianism that considers non-human agency equally with human agency be reconciled within ethnography, a methodology that stresses a careful observation of the specificities of the present? To address this question, I argue that overriding the difference between ethnography and posthumanist theoretical framwork by adopting analytic egalitarianism cannot avoid the problem of ethnographic insufficiency and purification and that such efforts will result in the relative exclusion of the symbolic/cultural aspects that importantly constitute human society and of matters of power and politics. The posthuman project that tends to reduce ethnography into “multispecies entanglements” and/or “multispecies storytelling” may invisibilize social relations that still importantly define human-nonhuman relations or erase matters of social difference and inequality by overly stressing the human as species being. Second, how does the (albeit understandable) skepticism on the practice of critique become manifested within posthuman/multispecies anthropology? By examining Tsing’s The Mushroom at the End of the World (2015), I show how the post-critical tendency in posthumanism redirects the focus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capitalism and environmental catastrophe into multispecies relationship and world-making within the catastrophe’s aftermath. The “arts of noticing” that Tsing suggests as a method of “collaborative survival” and/or as the best that we can do in what she calls “latent commons” appear to indicate a form of radically individualized/ privatized/sensual/affective practice that forecloses “agency as accountability” and the possibility of collective action that is mediated by political subjectification. As a result, the posthuman doubt on critique seems to immerse into optimistic lethargy that give oneself into entanglements with non-human than directly facing the questions it may rai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제와 사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