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대 대선의 의미와 진보의 재구성: 파국적 균형을 넘어 (The 18th Presidential Election and the Reconfiguration of the Progressive in South Korea: Beyond Catastrophic Equilibrium)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3.03
34P 미리보기
18대 대선의 의미와 진보의 재구성: 파국적 균형을 넘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판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제와 사회 / 97호 / 121 ~ 154페이지
    · 저자명 : 김정훈

    초록

    18대 대선은 첫째, 민주화 이후 보수/진보 프레임하에서 치러진 최초의 양자대결, 둘째, 무소속 후보의 당선가능성이라는 특징을 가진 선거였다. 따라서 두 특징이 결합한다면 진보세력이 승리할 수 있는 선거였지만, 결과는 반대였다.
    이 글은 진보세력이 왜 졌는지를 유권자 측면과 선거전략의 두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유권자 측면에서 보면, 여론조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진보세력은 소위 ‘아름다운 단일화’를 이루었다면 승리할 수 있었지만, 결과는 그렇지 못했기 때문에 졌다. 보수세력이 승리한 중요한 요인은 50대의 보수화이다. 소위 ‘50대 보수화’론은 사실의 일면을 담고 있지만, 첫째, 50대의 보수화와 함께 2040세대의 세대투표가 동시에 나타났다는 점, 둘째, 50대 보수화가 보수세력의 영구집권을 의미하는 ‘연령효과’라기보다는 특정세대의 경험을 반영하는 ‘동기집단효과(cohort effect)’라는 점에서 과장되었다. 또한 쟁점이 되었던 ‘이정희 효과’ 역시 보수결집효과와 함께 진보결집효과라는 이중적 효과를 가진 현상이었다고 해석될 수 있다.
    선거전략의 측면에서 보면, 민주당은 적절한 정책적 쟁점을 만들기 못함으로써 선거를 이미지투표와 회고투표로 만들었다는 점에서 리더십의 한계를 보여주었다. 안철수는 정치/비정치 프레임하에 새정치를 제도개혁으로 한정시킴으로써 자신의 확장가능성을 스스로 봉쇄하였다. 진보세력은 자신을 지지하는 세력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선거전략의 부재, 즉 정치적 리더십의 부재로 인해 패배했던 것이다.
    현재 민주당을 포함한 진보정당은 지지층으로부터 확고한 지지를 받고 있지 못하다. 2002년 민주화와 정보화로 인해 정치적, 문화적 진보 정체성을 획득한 2030세대가 이명박 정권이후 경제적 진보 정체성까지를 아우르는 2040세대로 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진보정치세력은 이러한 지지층의 가치 및 정체성을 대변하지 못하는 한계를 갖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진보정치세력은 구호진보에서 생활진보로, 이념진보에서 정체성의 정치로 시대적 전환을 이루어야 한다. 또한 진보를 표방하는 정당은 정책정당화, 교육정당화를 통해 정치적 리더십을 확보해야 한다.

    영어초록

    The 18th Presidential Election of South Korea is distinguished from previous elections in two aspects. On the one hand, two major candidates opposed to each other under the frame of the conservative versus progressive for the first time after democratization. And, on the other hand, it was the first election through which non-party candidate could win the presidency. The progressive force might have won the presidential election if there was synergy between the two aspects. But the outcome was in stark contrast to the optimistic expectation.
    This study examines why the progressive lost the election with regard to voter characteristics and the campaign strategy of the opposition. Opinion polls showed the opposition could have won if candidates Moon and Ahn reached the agreement on single candidate. But they failed the agreement, and this was the major cause of the defeat. Conventional wisdom attributed the win of the ruling party candidate to the So-called conservative swing of 50’s. Although this view captures the part of reality, it ignores two important aspects. First, the conservative shift of 50’s and the younger generation’s vote for the Democratic Party coincided. Second, the conservative 50’s was a cohort effect rather than a age effect. The 50’s are an age group sharing a specific experience of the past. In the same vein, so-called Lee Jeong Hee effect produced the activation of the progressive as well as the activation of the conservative. Second, with regard to election strategy, Democratic Party revealed the limit of leadership. As it could not generate effective political issues, people voted according to images and their memory, rather than political positions forged by contemporary issues. By mobilizing the frame of politics versus non-politics, Candidate Ahn limited his agendas for new politics to institutional reforms. The absence of election strategy and political leadership is the main reason for the defeat of the progressive despite wide supports.
    Progressive parties, including Democratic Party, do not have strong supports from its potential supporters. The progressive do not represent the younger generation from 20’s to 40’s who turned their back to the Lee Myung Bak Administration. They have identified themselves politically and culturally with the progressive as a combined result of democratization and informationization. Furthermore, this progressive identity has increasingly included even economic dimension under the Lee Administration. Nevertheless, the progressive does not embrace their discontent. In order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 retrogressive supports of progressive political forces and the progressive identity of their supporters, the progressive should make a double shift: From the progressive in political slogans to the progressive in everyday practices and from the progressive in ideology to the progressive in identity.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any political parties that identified themselves with progressive, to secure their political leadership by equipping relevant policies as well as nurturing young leaders of their parties.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