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순수 고독, 순수 허무의 시학 ― 조병화의 『넘을 수 없는 세월』을 중심으로 (A Study of Poetry about Pure Solitude and Pure Nihility — Focused on Cho Byeong-Hwa’s 『Time, not crossable』)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2.12
23P 미리보기
순수 고독, 순수 허무의 시학 ― 조병화의 『넘을 수 없는 세월』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학연구 / 35호 / 269 ~ 291페이지
    · 저자명 : 이재복

    초록

    첫 시집인 『버리고 싶은 유산』(산호장, 1949)에서 유고 시집(제 53번째 시집)인 『넘을 수 없는 세월』(동문선, 2005)에 이르기까지 조병화의 시 세계는 시인과 분리되지 않은 채 자신의 정서와 그 의미를 추구하는 하나의 흐름을 견지해 왔지만 그 흐름의 이면에는 다양한 변주의 세목들이 내재해 있다. 시인과 시가 분리되지 않은 채 그 흐름을 유지해 왔다는 것은 곧 시의 세계가 삶의 흐름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인의 삶 혹은 인간의 삶이란 시간의 흐름에 다름 아니다. 시간이란 시인의 주관에 의해서 얼마든지 그 의미가 바뀔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변하지 않는 것은 ‘탄생-성장-소멸’이라는 거역할 수 없는 흐름이다. 탄생에서 성장으로 다시 성장에서 소멸로 이어지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 시인의 의식이란, 더욱이 삶을 자신의 시에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흐름의 궤적을 따르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자신의 삶을 긍정하고 그것을 여유 있게 받아들이는 시인에게 이렇게 이어지는 시간의 흐름은 어떤 의미로 받아들여질까 하는 문제는 단순한 호기심을 넘어 선다. 그것은 삶의 존재성의 문제와 맞물려 있다는 점에서 시인의 주제 의식을 강하게 환기한다고 볼 수 있다. 시인의 시에서 관심을 두는 주제는 ‘시간과 죽음’으로 요약된다. 그의 시에서의 죽음은 ‘시간의 한계’ 혹은 ‘생명의 한계’ 속에서 운용된다. 시인의 시간과 죽음에 대한 민감한 자의식은 제 51시집 『세월의 이삭』(월간에세이, 2001), 제 52시집 『남은 세월의 이삭』(동문선, 2002), 제 53시집 『넘을 수 없는 세월』(동문선, 2005) 등에서 ‘세월’이라는 이름으로 전경화되기에 이른다. 비록 시인의 ‘넘을 수 없는 세월’이라는 명명은 시간과 죽음의 문제와 관련하여 의미심장함을 환기한다. 이 명명은 ‘세월의 이삭’(『세월의 이삭』)이나 ‘남은 세월의 이삭’(『남은 세월의 이삭』)에서 알 수 있듯이 이미 타계하기 전 시인이 민감하게 의식한 ‘세월’이라는 시간의 의미 속에서 탄생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넘을 수 없는 세월은 시간의 한계 혹은 생명의 한계를 의미한다. 시인이 말년에 세월이 지니고 있는 의미를 민감하게 자각한 데에는 그것이 곧 시간의 한계이면서 생명의 한계 속에서 운용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보면 그의 세월 혹은 시간에 대한 자각은 한계 의식 속에서 이루어지며, 이 한계 의식 속에서의 삶은 이미 그 삶 속에 죽음이 내재해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에게 삶과 죽음, 생성과 소멸, 변화와 영원 등의 문제는 단순히 하나의 사물이나 도구 그리고 현실의 차원의 의미로 이해되지 않는다. 그에게 이러한 문제는 과거, 현재, 미래가 통합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자신의 기투 및 피투의 행위이다. 그의 삶과 죽음, 생성과 소멸, 변화와 영원 등을 포함하는 시간에 대한 의식은 그것이 어떤 본질 보다는 실존을 함의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존이 본질에 선행하는 의식 속에서 이루어지는 시간 혹은 세월에 대한 흐름은 어떤 실존으로부터 벗어나 본질을 겨냥하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그가 세월을 넘을 수 없다고 한 데에는 그 세월이 시간과 생명의 실존 상황 속에서 이루어지는 하나의 현상이기 때문이다. 세월이 본질적으로 규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과거, 현재, 미래가 통합된 현상의 장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라는 점에서 ‘넘을 수 없는 세월’이라는 시인의 말은 어떤 가식도 또 숨김의 의도가 내재해 있지 않은 그야말로 현상의 소리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Cho Byeong-Hwa said he couldn’t cross back time. The poet confessed that he couldn’t cross back the time, so it says the time exists as a world. The world was built by the poet. As the time that is not able to be crossed becomes a world, all the creatures and action also become significance. The world can become the significance, because the poet’s wandering and clearing worked. The poet’s wandering and clearing is connected to one’s existence. And the finding and consciousness of the existence provides a decisive chance to reveal concealed meaning at the poet’s time. The concealed meaning in time gets to be revealed by the poet, not associated with a definition or tool. It is revealed by a natural and unprocessed sense or language in the everyday world. Although everyone knows it is Cho Byeong-Hwa’s merit, we should consider it is the virtue of his poetry, that it is based on the strong connection with death. If it is foreground that the death in his poetry worked in the limit of time and creatures, the world revealed by his wandering and clearing awakens the familiar and strange aesthetics of life as it 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3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