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을 떠나는 여성-청년들: 경계를 넘는 초국가적 이동 주체 (Female-Youths Escaping Korea : Transnational Mobile Agent Crossing Borders)

5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1.09
53P 미리보기
한국을 떠나는 여성-청년들: 경계를 넘는 초국가적 이동 주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미디어, 젠더 & 문화 / 36권 / 3호 / 133 ~ 185페이지
    · 저자명 : 신지연

    초록

    이 연구는 심층 인터뷰를 통해 한국을 떠난 여성-청년들의 이주 배경 및 이동 과정에서의 몸 경험에 주목한다. ‘탈조선’ 담론은 2010년대 중반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지만, 이는 주로 ‘청년’이라는 집단으로 묶어 연구되어 왔다. 이 연구는 다양한 청년들의 목소리를 드러내는 시도 중 하나로, 한국 사회의 페미니즘 재부상의 맥락 속 하나의 저항 양식으로서 여성-청년들의 이주를 이해하고자 한다. 여성-청년들은 기존의 청년 담론이 다뤘던 논의 외에도 일상적인 성차별, 특히 몸을 둘러싼 위험과 제약에 문제의식이 있었다. 이들은 이주 후 다른 공간적 경험을 하면서 젠더화된 규범에서 일정 부분 벗어나고, 타자와의 조우 속에서 관계 맺기에 변화를 겪기도 한다. 그러나 동시에 이들은 ‘동양인 여성’이라는 기호로 인해 새로운 종류의 차별을 경험하는데, 이에 대한 무시나 회피, 정정 요청 및 협상하기 등의 다양한 대응을 살필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여성-청년들이 인종주의에 기반을 둔 구별짓기를 하거나 ‘동양인 여성’이라는 기호를 활용하는 모순 역시 포착하였다. 이주 후 여성-청년들은 미디어를 중심으로 구축된 목적지에 대한 환상이 일정 부분 좌절되어도 이를 다시 해석하고 자신의 전략을 수정하는 모습을 보였다. 대표적으로 이들 대부분은 현실적인 제도의 문제를 우려하면서도 지속해서 다른 곳으로 이동할 계획이 있었다. 여성-청년들은 이주 후 예상치 못한 난관과 딜레마에 봉착하면서도 한국에서 오히려 불가능하게 다가왔던 계층 상승이나 더 나은 삶이 글로벌 스케일에서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목적지에서 자기 삶을 재구성하고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which employed in-depth interviews as its main methodology, focuses on the background of migration and body experiences behind the movement of female-youths who have left Korea. Although the discourse on ‘Tal-Joseon’, a Korean expression meaning fleeing Korea, has been researched since the mid-2010s, most of them mainly focused on ‘youth’ as a whole. On the contrary to that, this study is an attempt to expose the voices of various young people, particularly with the aim of it being understanding the migration decision made by female youths as a form of resistance in the context of the re-emergence of feminism in Korean society. In addition to the discussions that pre-existing youth discourse dealt with, female youths were also conscious of problems regarding gender discrimination in daily life, with the risks and constraints surrounding their bodies as the most weighted subjects. After migration, as female-youths had different spatial experiences, they partly departed from gender-based norms, and went through change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s. At the same time, however, they experienced a new kind of discrimination stemmed from the ‘Asian Woman’ categorization. Their responses varied in their encounters with it, with some of them ignoring or avoiding, and others attempting to make negotiation or correction. In analyzing these responses, contradictory actions of the female-youths were found, such as making racism- based distinctions themselves, or strategically taking advantage of the ‘Asian Woman’ image. After the migration, even if the pre-constructed, media-inspired fantasies about their destinations were mostly destructed, female-youths would respond by reinterpreting their situations and revising their strategies. For example, even though most of the female-youths were concerned about the realistic institutional issues, they would still continue to plan for their next trip. Female youths, while facing unexpected difficulties and dilemma after the migration, were nevertheless believing that upward mobility in social class and a better life were possible in somewhere outside Korea. The migrated female-youths, after all, were reconstructing their life as a whole at their destination count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디어, 젠더 &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