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심원을 넘어서 -박인환의 ‘외접선’에 대하여- (Beyond the Concentric Circle - Park In-hwan’s External Tangent -)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0.09
29P 미리보기
동심원을 넘어서 -박인환의 ‘외접선’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어문 / 86호 / 471 ~ 499페이지
    · 저자명 : 오문석

    초록

    이 논문은 시인이 속한 사회가 동일성을 강요할 때 시인이 사용하는 비동일성의 전략을 박인환을 통해서 이해하고자 한다. 박인환은 한국전쟁 직전에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체포되고, 이후 공개적인 전향선언을 강요받았던 시인이다.
    전향선언이란 이승만 정권이 강요하는 반공주의를 수락하고 국가에 대한 충성을서약하는 일이다. 국가가 정해준 중심을 박인환 자신의 중심으로 삼고 그 안에서 동심원으로 존재할 것을 강요받은 것이다. 이후에는 전향 이전에는 가능했던, 중심이 서로 다른 예술가들 간의 정치적 연대조차 불가능해진다. 전향 이전에반자본주의, 반식민주의적 아시아 연대를 모색했던 그의 정치적 행보가 중단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전향과 무관하게 박인환은 그의 작품에서 동일성의 폭력에도전하는 비동일성의 전략을 구사하고 있었으며, 그것을 중단없이 추진했다. 그비동일성의 전략을 이 논문에서는 ‘외접선’ 개념을 통해 탐구하고자 한다. 외접선은 중심을 공유하지 않는 두 개의 원에서만 그어지는 선이다. 중심을 공유하는 동심원에서는 외접선이 불가능하다. 또한 외접선은 두 개의 원이 중심을 공유하지 않고 접선만 공유할 것을 요구하는데, 이때 접선을 공유하는 두 개의 원이 같은 방향에 놓여야 한다는 조건이 붙는다. 이 외접선을 시에 도입하면 중심을 공유하지 못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사회가 강요하는 동심원의 폭력에맞설 수 있게 된다. 시를 쓰고 읽는 것은 그것 자체만으로도 비동일성의 전략인것이다. 2장에서는 박인환 시에 병존하는 두 개의 화자를 다루었다. 그는 화자를 하나로 통일하지 않고, ‘나’와 ‘우리’가 서로 교차하는 시를 많이 남겼다. 그사례로 「열차」를 검토하였는데, 거기에서 열차의 바퀴들을 연결하는 ‘외접선’을확인한다. 중심을 달리하지만 외접선(=철로)을 공유하는 모습을 바퀴들이 보여준다. 3장에서는 종군기자로 근무할 당시의 경험을 담은 「신호탄」을 분석했다.
    이 작품은 전쟁영웅의 진술이 담긴 4연을 나머지 연들이 둘러싸는 모습을 하고있다. 4연에서는 전쟁이 강요하는 동심원이 제시되지만, 나머지 연들에서 그는다른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중심을 이동한 것이다. 전쟁영웅이 쏘아올린 신호탄을 그는 외접선이라고 표현한다. 생과 사를 가르는 접선은 본래 내접선이어야 하는데, 그것이 어떻게 외접선이 될 수 있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내접선은 적대적 대립만 강조하지만, 외접선은 역설을 허용한다. 그래서 삶과 죽음이 병존할 수 있는 것이다. 4장에서는 시의 화자와 독자 사이에 동심원이 무너지는 경우와 시의 화자 ‘나’의 자기분열을 설명한다. 두 개의 중심은 어긋나고, 하나의 중심은 분열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5장에서는 박인환의 수수께끼에속하는 신의 문제를 다룬다. 먼저 내접선만이 허용되는 신과 인간의 관계가 이후 어떻게 동심원의 관계로 이동하게 되었는지, 그 과정을 설명한다. 신과 인간이 중심을 공유하게 한 것은 계몽주의자들인데, 그들은 신을 향해 합리성을 강요했던 것이다. 이후 인간과 더불어 합리성을 공유하는 신은 자연에서 추방당한다. 박인환의 신은 계몽주의자들의 전략에 말려든 ‘불행한 신’이다. 이 불행한신은 합리성이 만들어낸 재난 앞에서 슬퍼할 뿐 개입할 수 없는 무력감에 빠진다. 인간이 만든 동심원의 감옥에 갇힌 신의 모습이다. 박인환은 이 불행한 신을 동심원에서 해방하고, 과거의 내접선의 신이 아니라 외접선의 신의 모습을제시한다. 그 신이 ‘검은 신’이다. 검은 신은 인간에게 미래의 희망을 주는 신이아니라 희망 없음을 환기하는 신이다. 검은 신은 더 이상 미래가 존재하지 않는절망의 벽 앞으로 인간을 유인한다. 그것만이 새로운 희망이기 때문이다. 이때 그는 신과 인간 사이의 약속을 상기하는데, 그것은 곧 죽음의 약속이다. 죽음이야말로 더 이상 미래가 존재하지 않는 막다른 지점이다. 그 죽음의 약속이 인간과 신을 연결하는 외접선이다. 마지막으로 박인환이 지향하는 시인의 사명에 대해서 설명한다. 버지니아 울프가 가부장적 폭력을 이겨내고 글쓰기를 시도한 것의 의미를 살핀다. 사회가 강요하는 동심원의 압력을 무너뜨리고 두 개의 바위를 만들어내는 뱀은 버지니아 울프가 만들어낸 내접선이다. 박인환은 독자에게시인을 따라서 동심원의 세계에서 해방되어 내접선이 가능한 지점까지 이동할것을 요청하고 있는데, 그는 그것을 시인의 사명으로 삼았다.

    영어초록

    This thesis aims to understand the strategy of non-identity used by poets when the society to which they belong forces its identity on them. Park In-hwan was arrested on charges of violating the National Security Law just before the Korean War and was later forced to make a public turn. Progress could be made only by accepting the anti-communism imposed by the Rhee regime and pledging allegiance to the state, which set its own center as the center of Park In-hwan himself and forced him in its concentric circle. Later, the political solidarity between artists with different centers before the conversion became impossible, and Park In-hwan’s political moves, which had previously sought anti-capitalist and anti-colonial Asian solidarity, were halted; however, his works used a strategy of non-identity that challenged the violence of state-imposed identity. This study explores this strategy of non-identity through the concept of “external tangent”.
    which is drawn only in two non-concentric circles; in concentric ones, this external tangent cannot be found. The external tangent also request two circles that do not share the center but common tangent, and two circles that share the common tangent must be placed in the same direction. The introduction of this external tangent in poetry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center from being shared, and it makes people stand of to the violence of concentric circles that society forces.
    Chapter 2 of this article deals with Park In-hwan’s “two speakers”; he left many poems in which the speakers of “me” and “us” coexist, without using a single speaker. In this case, I review his work “Train” from which we identify the “external tangent” connecting the wheels of the train; although the centers are different, the wheels show the external tangent (=railway) being shared. Chapter 3 analyzes the work “Signal Bomb,” which recalls the experience of working as a war reporter and shows the statement of the war hero, signaling that the bomb fired by the war hero is an external tangent. Connecting life and death should be an internal tangent. But while the interanl tangent emphasizes only hostile confrontation, the external tangent allows paradoxes, meaning that life and death can coexist. Chapter 4 deals with the case of concentric circles collapsing between the poem’s speaker and its readers, and the narrator of the poem explaining the split himself. A center shared by two circles are collapsed, and one circle is divided into two. Chapter 5 focuses on the problem of God, which remains a mystery in his poems. Only internal tangents are allowed between God and man, but later concentric relations are created: it is the Enlightenment that led them to share the center, forcing rationality toward the perception of God ― an “unfortunate” one who is expelled from nature and involved in the strategy of the Enlightenment. This unfortunate God is saddened and unable to intervene in the disaster created by rationality, as represented by being trapped in a prison of human concentric circles. Park In-hwan frees the unfortunate God from these circles but presents an image of him as the external tangent rather than the internal tangent of the past. The Black God does not give hope to humans, instead evoking hopelessness and attracting humans to the wall of despair, where the future no longer exists. It is a new hope that echos the promise between God and man ― the promise of death as the end as the external tangent connecting the two. Finally, Park In-hwan explains the poet’s mission. As Virginia Woolf overcomes patriarchal violence and attempts to write, Park In-hwan aims to eliminate the pressure of concentric circles forced by society, hoping that the modern readers will also be liberated from this world of concentric circles, and asking that they move to the point where they can draw the internal tangent. This, he believes, is the poet’s mis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어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