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동문학을 넘어 일상적 노동의 회복으로 (Beyond Labor literature to “Daily labor”)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9.08
31P 미리보기
노동문학을 넘어 일상적 노동의 회복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논총 / 82호 / 391 ~ 421페이지
    · 저자명 : 김옥선

    초록

    노동문학, 노동운동의 열정이 사그라진 이후에도 우리는 여전히 노동을 하고 있다. 그리고 여전히 ‘인간 아님’의 존재로 내몰리고 있다. 거의 모든 업종에 걸쳐 고용을 보장하지 않는 노동의 비정규직화는 연대는 고사하고 ‘나 홀로’, 더구나 싸워야 할 적을 나와 함께 일하는 동료에게로 향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더욱 절망적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노동문학에 재현된 노동자들의 기대와 희망, 노동자들을 결집시키고 함께 싸우게 했던 힘을 다시 살펴보고자 방현석의 노동소설을 재독하였다.
    노동소설에 나타난 현실 개혁 의지에는 오늘날 노동자가 연대할 수 없는 한계도 동시에 존재했다. 지금보다 더 나은 삶이라는 목적은 경제적 안정으로, 평등 의식은 노동자가 지배계급의 생활수준을 욕망하는 쪽으로 나아가게 했다. 따라서 ‘소주’와 ‘트로트’ 같은 노동자의 취향은 비참하고 괴로운 심정을 반영하고, 경제적 여건이 개선되면 언제든 버리고 싶은 것이다.
    이제 우리는 과거 노동자의 기대와 희망이었던 ‘더 나은 삶’이 과연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다시 가져와 무엇이 우선 되어야 하는가라는 질문으로 전환해야 한다. 호가트는 노동자의 정신인 관용, 진보주의, 개인성, 회의주의와 냉소주의가 전통적인 노동자 공동체를 어떻게 와해시켰는지를 분석하면서, 동시에 그 정신들에서 노동자 문화를 회복할 수 있는 힘을 찾는다. 개인성은 획일화되고 있는 오늘날 중요한 가치를 지니며 회의주의와 반항적인 태도는 막강한 외부의 영향력을 무시, 혹은 ‘참고 견디며’ 자신을 지킬 수 있기 때문이다.
    박영한의 소설은 한국의 일상을 총체적으로 전환하게 만들었던 근대화의 폭력 앞에 선 가장 나약하고 절망적인 인간상을 그린 것이다. 가난한 사람들이 가진 특유의 너그러움은 나약하고 절망적인 사람들이 파탄에 이르지 않도록 만드는 조용하지만 강력한 덕성이다. 노동운동, 노동문학의 주체가 인간해방, 평등을 향한 연대, 집단화할 수 있었던 것은 가난한 이웃들과 함께 해온 전통적인 생활 관습이 건강하게 유지되어 온 데 있다.

    영어초록

    The 1980s was an era of labor literature. The literature exposed the undue suppression on laborers and desire humane lives. The laborers also wrote their own stories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s and achieve better lives. Critics at the time assigned crucial roles and values to labor literature such as human liberation, realization of democracy and overcoming the division. However, the heat for labor literature vanished in an instant along with the changes in international situations during the early 1990s. In this research, I assume that the value of labor which was pursued by labor literature is still valid and examine how it has been changed. As such, I intent to restore the power that assembled the laborers in the past and encouraged them to fight for the common goal. The purpose is to establish a fence to protect the laborers in the modern society from the despair and anxiety.
    The laborers appeared in labor literature desired to improve their lives, rethink about class consciousness, and achieve equal relationships. However, this desire is limited that modern laborers cannot band together. The purpose of a better life was economic stabilization. The equality awareness of laborers made the laborers to desire for a standard of living of the ruling class. Therefore, the preference of laborers such as “Soju” and “Trot” reflected the desperate and painful feelings of laborers. Consequently, the laborers wanted to escape from the reality if their economic conditions are improved.
    After the labor movement, the reality of laborers in Korea is miserable. The economism made every effort and passion to be quantified as profits. The westernized education turned the values of the past generation into something old and obsolete. People started to not believe anything after every type of authorities was dissolved. Instead, they rely on the authorities of a strong nation and believe that only family is safe. Today, only the nation and family are left and it is crucial to restore the common sensation which can connect the fragmented individuals.
    Labor is an activity that every person experiences ever since the birth of human beings. Before the labor movement, people were routinely engaged in labor. They experienced the society through labor and created the principles and orders based on their needs and demands. Younghan Park’s novel reproduced the aesthetics of farmers’ daily lives. The weakness and despair they experienced before the advent of a new era made them help each other. The solidarity demonstrated in Younghan Park’s novel was poor people’s daily lives and conventional norms. Therefore, the solidarity of laborers is possible only by the “power of enduring” “together”, instead of escaping from the poor and miserable re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