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부가가치세제의 연원(淵源) - 최초의 도입 과정에서 앨런 A. 테이트와 제임스 C. 뒤그넌의 보고서가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The Origin of the Korean VAT System - with reference to the reports for the Korean government prepared by Alan A. Tait and James C. Duignan)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3.06
48P 미리보기
한국 부가가치세제의 연원(淵源) - 최초의 도입 과정에서 앨런 A. 테이트와 제임스 C. 뒤그넌의 보고서가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제조세협회
    · 수록지 정보 : 조세학술논집 / 39권 / 2호 / 277 ~ 324페이지
    · 저자명 : 윤지현

    초록

    대한민국은 1970년대 초반부터 부가가치세제의 도입을 고려하여 1977년 7월 1일에 이를 시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국제통화기금(IMF)을 통하여 앨런 A. 테이트(영국)와 제임스 C. 뒤그넌(아일랜드)의 자문을 얻을 수 있었고, 이들이 각각 남긴 보고서는 한국 정부의 제도 설계와 의사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으나, 그 후 꽤 오랜 기간 동안 충분한 분석의 대상이 되지 못한 채 사실상 잊혀져 왔다. 이 글은 이 ‘테이트 – 뒤그넌 보고서’를 되살려 지금의 시점에서 그 내용을 살펴보고 이 보고서가 우리나라의 부가가치세제 도입 과정에서 미친 영향을 가려내어 보려는 시도이다.
    그 사전 작업으로 먼저 테이트와 뒤그넌이 어떤 사람들이었는지, 현재 얻을 수 있는 제한된 정보의 범위에서나마 간단히 확인하여 보고, 또 이들의 보고서가 어떠한 체제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일별하여 본다. 다음으로 특히 ‘뒤그넌 보고서’가 다룬 다양하고 방대한 논점들 중에서도 주로 부가가치세제의 행정적 측면에서 뒤그넌이 문제를 제기한 것들 – 사업장 별 등록, 세금계산서의 과세관청 제출, 간이세금계산서 제도와 기장의무 조항의 불완전함 – 에 초점을 맞춘다. 그리하여 우선 이들 논점에 관한 제정 부가가치세법의 조항들과 이에 대한 뒤그넌의 입장이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진 옛 유럽경제공동체(EEC, 지금의 유럽연합의 전신)의 ‘제6 준칙(Sixth Directive)’의 상응하는 조항이나 그 밖의 논의들에 비추어 어떻게 평가될 수 있는지 살펴본다. 그러고 나서 이번에는 제정 부가가치세법 조항들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어떻게 바뀌었으며 뒤그넌 보고서가 이 과정에서 영향을 미친 것이 있는지, 또는 그 밖에 어떤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지 검토한다. 이 과정에서 특히 뒤그넌이 한국 부가가치세제에서 세금계산서와 기장의무 규정이 가지는 의의, 그리고 이와 관련한 부가가치세제의 작동방식에 관하여 당시의 한국 정부와 근본적인 인식 차이를 보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 차이가, 그때와 비교하여 많은 것들이 변한 현재에는 어떻게 이해되어야 할지를 비롯하여 이 보고서는 앞으로 연구의 대상이 되어야 많은 과제를 여전히 남기고 있다.

    영어초록

    The Republic of Korea started considering introduction of the value-added tax in the early-1970s and the relevant law came into effect in July 1 of 1977.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greatly helped this process by dispatching two European experts, i.e. Alan A. Tait from the United Kingdom and James C. Duignan from Ireland, who closely consulted the Korean government with the project. Their respective reports to the Korean government seem to have exercised huge influence on the institutional design of VAT and the relevant decision-makings by the Korean government. However, those reports since then have long been virtually forgotten without attracting due attention or interest from the tax experts and commentators.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remind us of the historical and theoretical importance of these reports by briefly reviewing their overall structure and analyzing some selected topics dealt with in these reports.
    As a preliminary step, this article depicts with what little information that is currently available who Alan Tait and James Duignan were. Afterwards, the focus is shifted to the reports that they submitted to the Korean government, Their composition and structure, the topics discussed and the basic and fundamental ideas and understanding that are ever present throughout the reports are identified, discussed and evaluated. Duignan’s report is by far the more extensive and voluminous one, and thus this article picks up some of the topics that were of particular interest to Duignan. They are, among others, separate registration of branches, submission of VAT invoices to the tax authorities, issuing of simplified invoices to the final consumers and lack of effective provisions requiring proper bookkeeping. By contrasting the relevant statutory provisions under the first Korean VAT Code with their corresponding provisions under the so-called Sixth Directive of the then European Economic Community (now the European Union), this article reviews and evaluates the argument that Duignan consistently raised in his report that the Korean VAT shows certain conceptual differences from its European counterparts.
    This article goes on to compare the same provisions of the first Korean VAT Act with its subsequent amendments, and in that course, how the Korean VAT evolved after its inception and what marks the Duignan reports left thereon. The article ends with calling for further researches on the Tait and Duignan reports, including (but of course, not limited to) the question of how the aforesaid conceptual discrepancies between Duignan and the Korean tax officials on the essential elements of VAT should play out after forty years or so, where so many have chang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세학술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