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정희 소설의 기억 서사 형식 연구 -「바람의 넋」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style of narrative of memory in the novel by Oh Jeong Hee -With a focus on ‘The Spirit of Wind’)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4.12
20P 미리보기
오정희 소설의 기억 서사 형식 연구 -「바람의 넋」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어국문학 / 169호 / 167 ~ 186페이지
    · 저자명 : 김세나

    초록

    오정희의 「바람의 넋」은 기억-서사의 형식이 주체 구성을 위한 하나의 방법론이 될 수 있음을 살필 수 있는 작품이다. 기억은 인간의 삶에 실존 조건이 되며, 주체는 과거의 기억을 망각하거나 회상하는 과정을 통해 새로이 자신을 구성할 수 있다. 기억과 망각, 회상은 하나의 짝을 이루면서 주체의 자리에 이르기 위한 형식이 된다. 「바람의 넋」의 은수에게 과거의 망각된 원체험은 그 파상적 힘을 발휘하며 현재의 삶에 정체를 알 수 없는 불안을 야기한다. 회상은 현재의 위치에서 과거의 기억을 불러일으킨다는 점에서 언제나 파상적 힘을 발휘할 수밖에 없다. 뿐만 아니라 현재의 삶이 과거와 단락될 수 없다는 점에서도 회상은 주체성 개념과 긴밀한 관계를 지니게 된다. 과거의 해소되지 못한 기억들을 피하거나 덮어두려 하면 주체의 자리에 서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은수의 잦은 가출과 이를 용인할 수 없는 주변 상황의 대비를 통해 「바람의 넋」은 망각과 기억하기의 행위를 극대화하는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오로지 홀로 겪어야 하며 텅 빈 상태, 자신이 무(無)화되는 체험을 겪는 과정을 통해 은수는 주체의 자리에 설 수 있게 된다. 이는 자신의 분열을 감당하면서 부정성을 체현하고자 하는 모습으로 형상화되며 주체로 자리매김되는 과정으로 나타난다.
    우리 문학에서의 오정희가 보여준 세계의 특징은 개인의 내밀한 경험영역을 누구보다도 정밀하게 드러내 보임으로써 존재의 불안정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다. 특히 평범한 일상생활 속에서 무료한 존재적 삶을 살아가는 중산층 혹은 여성의 내적 세계를 집중 조명하면서, 자칫 무미건조한 일상성의 소재로 전락할 수 있는 대상을 해부하여 진단하는 듯한 세밀성을 보인다. 「바람의 넋」에 나타난 기억-서사의 틀은 개인의 일상성 안에 흉물스럽게 자리하고 있는 불안과 초조의 표면을 들춰내고, 개인의 문제와 역사·사회적 문제로 확장하는 시선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는 작품이다. 뿐만 아니라 삶을 이분법적 질서로 구획하여 바라보는 태도를 지양하는 작가의 의도 역시 고찰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e Spirit of Wind by Oh Jeong Hee is a work that offers a glimpse on how the style of memory-narrative can become a method to form an agent in itself. Memory becomes an existential condition to human life and the agent, through the process of forgetting one’s memory or reflecting on it, can form a new self. Memory and oblivion, as well as remembrance form partners to one another and become a style to reach the right location of the self. The Spirit of the Wind shows Eunsu’s forgotten memory which exerts a destructive power and causes anxiety that cannot be pinpointed. Remembrance can only exert destructive power in that it triggers the memory of the past from the vantage point of the present. Moreover, because of the fact that the life in present tense cannot be severed from that in the past tense, remembrance is closely related to the concept of agency. When one tries to avoid or gloss over unresolved issues and memories from the past, the self loses its proper location. The frequent running away of Eunsu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at does not tolerate such behavior shows a contrast where the act of forgetting and remembering exert the greatest power in The Spirit of the Wind. Through experiencing a state where a void is felt by oneself and where oneself turns into nothing, Eunsu can finally establish his self agency. This is expressed through his effort to survive and experience his self-division and negativity, through which he is reborn as a self-willed being and agent of his life.
    The world shown in Oh’s novels is characterized by a detailed focus on internal experiences of individuals, thereby posing a question on the instability of existence. In particular, by shedding light on the internal lives of the middle class or women who are going through their daily motions, the author anatomizes the subject that could have been relegated to a topic of dull, daily life. The framework of memory-narrative shown in The Spirit of the Wind is significant in that it unveils the instability and anxiety hidden inside our daily lives and applies a viewpoint where the individuals’ issues are expanded in a historical-social context. Moreover, the intention of the author to avert a binary perspective in viewing the world in either black or white can also be perceiv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