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정희의「바람의 넋」다시 읽기 - 모티프를 중심으로 - (Re - Reading of The Soul of Wind by Oh Jeong - Hee - With a focus on motifs -)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6.06
26P 미리보기
오정희의「바람의 넋」다시 읽기 - 모티프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예비평연구 / 50호 / 205 ~ 230페이지
    · 저자명 : 김미영

    초록

    이 글은「바람의 넋」에 대한 재론이다. 이 글의 착안점이자 기존 연구와의 변별성은 모티프와 주인공 남편에 대한 새로운 해석에 있다.
    「바람의 넋」은 메인 모티프인 ‘가출’과 삽입 모티프인 <헌화가>, 이탈리아 영화 <길>로 구성되었다. ‘가출’ 모티프는 이 작품의 성격을 존재 탐색의 서사로, 삽입 모티프인 <헌화가>와 <길>은 주인공 은수에게 바치는 ‘진혼의 노래’로서 애도 서사의 성격을 드러낸다.
    주인공 은수의 가출 행위는 모두 11차례 드러난다. 결혼 전에 결행한 가출은 유년기와 소년기에 두 차례 있으며, 결혼 이후에 9차례의 가출이 나타난다. 은수의 인생에서 첫 가출은 전쟁 중 가족의 참사를 목도한 유년의 원체험이 발단이고, 소년기의 가출은 출생비밀 때문이다. 결혼과 출산 이후에 시도한 가출은 자신의 존재성, 또는 근원을 찾기 위한 무의식적인 반복 행위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출이 그녀의 존재 탐색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그녀가 결행한 마지막 가출에서 자신의 근원을 확인하였으나 이로 인해 남편, 자식과의 단절이 견고해졌기 때문이다.
    삽입 모티프는 향가 <헌화가>와 영화 <길>을 주목할 수 있다. <헌화가>는 여주인공 은수의 서사에 삽입된 모티프로서 은수의 제의적 죽음에 대한 진혼의 노래가 된다. 반면, <길>은 남편 세중의 서사에 삽입된 모티프로서 이유를 알 수 없는 아내의 가출을 바라보는 남편의 내면 심리와 아내에 대한 감정을 드러내는 데 기여하고 있다.
    선행 연구에 의하면 지세중은 가부장적 남성중심의 사고를 보여주는 인물로서, 은수와 대립적 관계에 있는 인물로 논의되었다. 그러나 아내의 가출을 지켜보며 아내에 대한 연민을 수반한 심리적 반응을 지속적으로 보여주는 지세중을 폭력적 남성을 상징하는 인물로 보기는 어렵다고 본다. 그는 은수가 자신의 가출 행위에 대하여 미처 말하지 못하고 있는 부분들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동시에 그 또한 전쟁의 비극적 자장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인물로 형상화되었다. 은수의 가출 행위가 전쟁의 트라우마에서 비롯된 것이고, 아내의 이러한 상황이 세중의 소박한 꿈인 단란한 가정의 유지를 훼손하였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reviewed The Soul of Wind by Oh Jeong-hee, being conceived and differentiated by an effort to interpret the meanings of its motif and husband from a new perspective.
    The novel consists of a main motif, which is "running away from home," and two inserted motifs, which are Heonhwaga and The Road, an Italian movie. The motif of "running away from home" reveals the nature of the novel as a narrative to search for existence, while the inserted motifs of Heonhwaga and The Road are the "songs of reposing a soul" dedicated to Eun-su, the main character, and reveal the nature of the novel as a mourning narrative.
    In the novel, Eun-su ran away from home in total 11 times. She ran away from home two times before getting married: one during her childhood and the other during her girlhood. The remaining nine times happened after she got married. She ran away from home for the first time in her life because of the original childhood experience of witnessing the disaster inflicted upon her family during the war. As a girl, she ran away from home again because of her birth secret. Even after she got married and gave a birth, she made more attempts at running away from home. Those attempts of hers were tragic acts for her to find her own existence and roots. It is, however, difficult to conclude that she succeeded in exploring her existence by running away from home. After she ran away from home for the last time, she confirmed her root but had her severance from her husband and child solidified. The inserted motif of Heonhwaga is a device to remind that the "red" image of the novel is associated with death once again. It becomes a song of reposing a soul for Eun-su's ritual death along with The Road.
    The previous studies on the novel discussed Eun-su's husband, Ji Se-jung, as a character that did patriarchal and male-centric thinking and was in confrontational relations with her. He, however, reacted with compassion and sympathy every time she ran away from hom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consider him as a symbolic male-centric character. He was also a victim of her running away from home who could not be excluded from the tragic magnetic field of w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예비평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