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원초적 장면과 여성적 글쓰기의 기원 -오정희의 「바람의 넋」 재론 (The Primal Scene and the Origin of Feminine Writings Rethinking on Parameuneok(「바람의 넋」) by Oh Junghee)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5.02
20P 미리보기
원초적 장면과 여성적 글쓰기의 기원 -오정희의 「바람의 넋」 재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학논총 / 37권 / 379 ~ 398페이지
    · 저자명 : 심진경

    초록

    이 논문은 오정희의 <바람의 넋>에 대한 분석이다. 지금까지의 기존논의에서는 이 소설 속 여주인공의 반복되는 가출에 대해 중산층 여성의 일탈 욕망 혹은 여성의 자기 탐색 서사로 분석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은 오정희 소설에 대한 상투적 분석의 연장선상에 있을 뿐 이 작품 고유의 개성과 의미를 포착하는 데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소설의 결말 부분에 이러한 여성의 가출 충동을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힌트를 던져 놓는다고 보았다. 그것은 어린 ‘은수’가 전쟁통에 부모와 쌍둥이 여동생이 도둑들에게 몰살당하는 상황을 목격하는 장면이다. 그럼으로써 작가는 여주인공의 기이한 가출 심리에 대해 소설 내적으로 설득력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소설의 결말 부분에 마련된 원초적 장면이 구성되는 방식과 이 장면이 전체 서사와 맺는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바람의 넋」에 대한 새로운 이해에 도달하고자 한다. 이 소설의 원초적 장면에는 분명 한편으로는 실제 ‘은수’가 겪었던 6·25의 상흔이 각인되어 있는 것이지만, 작가 오정희의 시선은 단순히 거기에서 드러나는 6·25의 역사적 상흔 자체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는 않다. 작가는 오히려 그 체험의 역사적 맥락을 치환하여 1980년대 여성이 처한 현실 속에서 자기 존재의 기원을 탐색하고자 하는 형식으로 바꾸어놓고 있다.

    영어초록

    This essay is an analysis on Parameuneok(「바람의 넋」) by Oh Junghee. In former discussion on this novel, the repeated elopement of heroine have been interpreted as deviation desire of the middle-class woman or the narrative of self-exploration. However this analysis could not grasp the individuality and meaning of this novel. In this essay, I understand the end of this novel give a hint about the drive of elopement of heroine. That is the scene in which little girl Eunsoo witnessed the situation of her parents and little sister murdered by strangers. Through that, the writer is setting the persuasive foundation in this novel about strange elopement desire of heroine. Therefore this essay aims to renewal understanding on this novel, by analyzing the constructing way of this primal scene and interrelationship between this and whole narrative of this novel. The trauma of Korean War is stamped on this novel's primal scene which little girl Eunsoo had experienced on the one hand, but the writer do not accentuate the trauma of Korean war. The writer displace the context of that experience and change that into the form of exploration of the origin of self-existence in women's reality in 1980s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