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80년대 초반 영국의 조청(朝淸) 관계 인식과 정책 수립에 관한 영미권 학계의 초기 연구 분석 : 1930년대 존스(Jones, F.C.)와 키어넌(Kiernan, E.V.G.)의 논저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early Anglo-American academic research on British perceptions and policy formulation of Manchu-Chinese relations in the early 1880s : focusing on the research of Jones, F.C., and Kierna)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4.03
30P 미리보기
1880년대 초반 영국의 조청(朝淸) 관계 인식과 정책 수립에 관한 영미권 학계의 초기 연구 분석 : 1930년대 존스(Jones, F.C.)와 키어넌(Kiernan, E.V.G.)의 논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아세아연구 / 67권 / 1호 / 201 ~ 230페이지
    · 저자명 : 한승훈

    초록

    본 논문은 1930년대 서구에서 진행된 19세기 후반 조선의 대외관계 연구를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1935년 미국 하버드대학교의 박사논문인 존스(Francis Clifford Jones; Jones, F.C.)의 “Foreign diplomacy in Korea 1866-1894”(PhD. in Harvard University)와 1939년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출판부에서 펴낸 키어넌(Kiernan, E.V.G.)의 British Diplomacy in China 1880 to 1885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39)를 다루고자 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존스와 키어넌이 1880년대 초반 영국이 조선과 청국의 관계를 인식하고 이를 정책 수립에 적용한 일련의 과정을 어떻게 서술했는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존스와 키어넌은 기본적으로 영국이 조선과 청국의 “속방”관계를 부정하지 않았다는 입장을 견지하였다. 하지만 그들은 영국이 조선과 청국의 “속방”관계에 입각한 청국의 대조선정책에 무조건적으로 의지하지도 않았다는 사실 또한 강조하였다. 이에 키어넌은 조선의 독립과 열강과의 조약 체결이 러시아의 남하를 막는 데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 영국의 기본 입장이었다는 사실을 밝혔다. 키어넌은 영국의 거문도 점령이 당시 러청 국경, 또는 아프가니스탄에서 러시아 진출을 우려한 영국의 조치로 설명하였다. 존스는 영국이 거문도를 점령한 원인이 조러밀약에 있지 않았으며, 영국과 러시아의 아프가니스탄 갈등에서 비롯되었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존스의 견해는 갑신정변 이후 영국이 거문도 점령을 고려했으며, 그 와중에 아프가니스탄에서 러시아와의 갈등이 증폭되자 영국이 거문도 점령을 단행했다는 한국 측 연구와 조응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한국의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서는 갑신정변 이후 조선이 청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해서 러시아와의 밀약을 추진했으며, 그 소식을 접한 영국이 조러밀약을 무력화하기 위해서 거문도를 점령했다는 것이 정설처럼 받아들여지고 있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analyze the study of Korea’s foreign relations in the late 19th century in the West in the 1930s. Specifically, I will focus on Francis Clifford Jones (Jones, F. C.)’s “Foreign diplomacy in Korea 1866-1894” (PhD. in Harvard University, 1935) and Kiernan, E. V. G.’s British Diplomacy in China 1880 to 1885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39). In particular,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examine how Jones and Kiernan describe the process by which Britain perceived the Korea-Qing Tributary Relationship in the early 1880s and applied it to policy formulation. Jones and Kiernan’s basic position is that Britain did not deny the Korea-Qing Tributary Relationship. However, they also emphasized the fact that Britain did not unconditionally rely on Qing policy toward Korea, which was based on the Korea-Qing Tributary Relationship. In response, Kiernan revealed that Britain’s basic position was that Korea’s independence and treaty with the Great Powers would help prevent Russian expansion southward. Kiernan explained that the British occupation of Geomundo(Port Hamilton) was a response to British concerns about Russian advances on the border between Russia and Qing China or in Afghanistan at the time. Jones’s view is that the British occupation of Geomundo(Port Hamilton) was not motivated by a secret agreement between Korea and Russia, but rather by the British- Russian conflict in Afghanistan. Jones’s view is in line with Korean research that suggests that the British considered seizing Geomundo(Port Hamilton) after the Gaksin Revolution, and that the British did so as the conflict with Russia in Afghanistan escalated. However, it is still accepted as orthodoxy in Korean high school history textbooks that Korea pursued a secret agreement with Russia to exclude Qing interference after the uprising, and that the British, upon hearing the news, seized Geomundo(Port Hamilton) to neutralize the secret agreement between Korea and Russ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세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