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아시아 여성영화의 모성신화(母性神話)와 문화번역: 한국 영화 <미씽: 사라진 여자>(2016)와 리메이크 중국 영화 <너를 찾았다(找到你)>(2018)의 서사 분석을 중심으로 (The Maternal Mythology and Cultural Translation of East Asian Women's Films - Focused on the Narrative Analysis of the Korean Film (2016) and the Remake Chinese Film (2018))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1.11
42P 미리보기
동아시아 여성영화의 모성신화(母性神話)와 문화번역: 한국 영화 &lt;미씽: 사라진 여자&gt;(2016)와 리메이크 중국 영화 &lt;너를 찾았다(找到你)&gt;(2018)의 서사 분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중국지식네트워크 / 18권 / 18호 / 269 ~ 310페이지
    · 저자명 : 최영희, 문현선

    초록

    근대 이후 한국을 비롯한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각국은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를 거치며 현대화를 추구해왔다. 동아시아라는 특정한 인문지리 환경 속에서 각국의 여성들은 급격한 사회 질서의 변화에 적응하는 현대적 여성상과 유교적 가족 윤리에 기초한 강력한 가부장제의 전통적 여성상 사이에서 갈등을 겪어왔다. 한국 영화 <미씽: 사라진 여자>(2016)는 여성의 시각, 여성의 심리로부터 여성의 생존 상황을 반성하는 여성영화의 새로운 전형을 창조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동아시아 각국에서 반향을 일으켰고, 중국에서는 <너를 찾았다(找到你)>(2018)라는 제목으로 리메이크되기도 했다. 두 영화 텍스트가 한국과 중국 양국에서 일으킨 반향은 텍스트들이 공유하고 있는 모성신화와 ‘여성-엄마’ 주체의 문제가 동아시아 지역에서 공유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준다. 본고는 두 영화의 서사 분석을 통해 계층, 지역, 문화 배경의 차이로부터 현대 동아시아 사회에서 ‘직업’을 가진 여성으로서의 ‘엄마’들이 드러내는 무력감, 갈등, 노력, 신념과 의지의 관철 등을 면밀히 검토함으로써 동아시아 가족 윤리의 ‘모성신화’를 확인하고, 두 영화 텍스트의 상징적 기호가 한국과 중국의 서로 다른 조건을 어떻게 다른 양상으로 반영하는지 살펴보는 데 우선적인 목적을 두었다.
    한국 영화 <미씽: 사라진 여자>와 중국 영화 <너를 찾았다>는 모두 하층 여성의 수난 서사를 바탕으로 구축되었으며, ‘엄마’라는 전통적 역할과 ‘직업’을 가진 개인으로서의 현대 여성이 맞닥뜨리는 곤경에 주목한다. 두 영화 텍스트 속의 여성들은 고용주와 피고용인, 변호사와 의뢰인, 전업주부와 전문직 여성이라는 상반된 입장에 서 있지만, 가부장제 하의 가족 윤리와 자본의 논리에 철저히 따르는 신자유주의 체제의 이중적 억압에 시달리는 주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미씽: 사라진 여자>의 <너를 찾았다>로의 문화 번역은 여성 주체의 ‘일-가정 양립’의 불가능성을 사실적으로 서술함으로써 주류 대중매체가 설파하는 ‘모성신화’의 ‘엄마’ 이미지가 지닌 허구성을 폭로하고 행동하는 ‘여성’ 주체의 연대 가능성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지닌다고 할 것이다.

    영어초록

    Countries in East Asia have been on a path to similar social changes under the patriarchal family ethic that follows rapid modernization and the teachings of Confucianism. The Korean film <MISSING>(2016) has created a new model for women's films that reflect on their survival from the perspective of women and the psychology of women, which has been remade into a Chinese film, <Lost, Found>(2018). The reverberations that the two movie texts have caused in both Korea and China confirm that the issues of motherhood myth and "women-mother" subject, which are shared by the texts, are shared in the East Asian region.
    This paper examines the narrative analysis of two film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stratum, region, and culture background from the difference of stratum, region and culture background to the powerlessness, conflict, effort, belief and will of the 'mother' I tried to reveal the maternal myth of family ethics in East Asia and examine how the symbolic symbol of the two movie texts reflects the different conditions of Korea and China as different aspects. The Korean film <MISSING> and the Chinese film <Lost, Found> are both based on the suffering narrative of the lower woman, and pay attention to the difficulties faced by modern women as an individual with a traditional role of 'mother' do. Women in these two texts are in a completely conflicting position: employers and employees, lawyers and clients, full-time housewives and professional women, but they are subject to double-faced oppression as a neo-liberal system that follows the logic of family ethics and capital under patriarchy. By realistically describing the impossibility of the 'work-to-work compatibility' of these women's subjects, we sought the possibility of East Asian solidarity of the 'women' subject, who is abstaining from the 'mother' image of 'motherhood myth' , The significance of the link between two texts and text can be sough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지식네트워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