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토이브너의 헌법 다원주의의 관점에서 본 경제 영역에서 국가의 역할: 헌법 제119조 제2항의 “경제의 민주화”와 관련하여 (The Role of the State in the Economic Area in the perspective of Constitutionalism Pluralism in the Context of “Democratization of Economy” of Korean Constitution Article 119(2))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4.06
46P 미리보기
토이브너의 헌법 다원주의의 관점에서 본 경제 영역에서 국가의 역할: 헌법 제119조 제2항의 “경제의 민주화”와 관련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법과사회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법과사회 / 46호 / 327 ~ 372페이지
    · 저자명 : 김연식

    초록

    2013년 대선에서 큰 쟁점 중의 하나는 소위 ‘경제 민주화’에 대한 논쟁이었다. 유력 대선후보들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헌법 제119조 제2항의 경제 민주화 조항을 근거로 하여 국가가 경제 영역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약속하였다. 그러나 대선이 끝나고 선거공약을 이행해야 하는 시점에서 경제 민주화의 개념이 가진 모호함은 더 많은 문제들로 이어졌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헌법 제119조 제2항의 해석에 관하여 경제 민주화의 내용을 이해하는 의미 있는 하나의 이론적 틀을 제시 해보고자 한다. 특히 본 논문은 경제민주화와 관련한 국가의 역할이 무엇인가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진행해 보고자 한다. 기능적으로 분화된 현대사회에서 국가는 전체 사회의 ‘컨트롤 타워’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고 여러 부분사회 중의 하나로 남게 된다. 하지만, 기능적 분화는 각 부분사회의 자율적 기능을 더욱 강조하게 되고, 이에 따라 국가에 있어서 집단적으로 구속력 있는 결정의 생산이라는 정치의 기능은 더욱 중요해진다. 하지만 이러한 기능을 성공적으로 이행하는데 있어서 국가는 이전 보다 더 많은 어려움을 겪어야 한다. 기능적으로 분화된 부분사회들의 경쟁이 치열해 지면서 더 많은 분쟁이 발생할 가능성이 생기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토이브너는 헌법 다원주의에 입각하여 맥락적 조정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그에 따르면 국가는 각 부분의 자율성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한편 이러한 자율성이 다른 부분사회와 사회 전체에 파괴적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이론적 전제에서 한국 헌법의 경제 민주화를 해석해 보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헌법 제119조 제2항은 국가, 특히 입법자로 하여금 경제 및 기타 사회 영역에 개입하여 규제 권한을 행사할 것을 명령하고 있다. 국가는 사회적 행위자들을 직접적으로 조종할 수 있는 능력은 점차 상실하고 있지만, 부분사회의 합리성이 파괴적 결과를 낳기 전에 문제를 정치적으로 공론화하여 사회적 행위자를 하나로 모을 수 있는 사실적 능력이 있다. 둘째, 경제 민주화의 지향점은 헌법재판소가 공익으로 표현하는 ‘사회의 다맥락성을 유지’하는데 있다. 셋째, 이를 위하여 국가는 부분사회의 형식적 합리성을 견제하는 자생적 영역의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어 이 영역을 활성화함으로써 부분사회의 합리성이 파괴적인 결과를 낳지 않도록 조정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맥락적 조정은 개입과 규제를 거부하는 것이 아니라, 규제의 방법에 관한 문제이다. 이렇게 볼 때 우리 헌법상 경제민주화 조항은 국가로 하여금 부분사회의 구체적 작동 방향을 지시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다. 대신에 국가로 하여금 경제 영역의 주변부에서 소외 되어 있는 시민사회 단체 또는 개인들이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지위를 절차적으로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데 경제 민주화의 핵심이 있다.

    영어초록

    The so-called ‘democratization of economy’ was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issues of the 2013 presidential election. During their campaigns presidential candidates promised that their administrations would establish a series of regulations to address economic inequality and polarization based on Article 119(2) of the Korean Constitution, which prescribes the comprehensive duties for the democratization of the economy. However, currently many policies promised at that time have not been enacted as there are many controversies over the interpretation of the relevant clause. In this context, this paper attempt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democratization of economy” in the constitutional pluralism perspective proposed by Gunther Teuber. He analyses that the statist direct control of the economy is not currently working well in the world, in which many autonomous social systems are emerging.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proposes a contextual control as a general direction for the role of the state in the regulation of the economy on the basis of constitutional pluralism, which recognizes the emergence of sub-societies and the formation of constitution as a structural coupling between the law and the sub-society. Therefore, the state needs to step down from its omnipotent position to control all social systems. Instead, the state should set up institutional frameworks to promote the autonomy of the economy by preventing its self-destructive tendencies. In this context, while the state respects the autonomy of the economic area for self-governance, it also encourages more actors to participate in the making and implementation of regulations. This approach allows those actors to resist the expansive tendencies of economic rationality. In this context, the state needs to pay more attention to designing this institutional framework instead of its setting up particular policy goals, which the current nation state can rarely achieve in a functionally differentiated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