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몽타주 이론을 근거로 한 글 없는 그림책의 사실적인 연속성 - 데이비드 위즈너의 글 없는 그림책을 중심으로 - (Continuity of Wordless Picture Book in the View of Montage Theory -focused on David Wiesner’s wordless picture book-)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15.12
13P 미리보기
몽타주 이론을 근거로 한 글 없는 그림책의 사실적인 연속성 - 데이비드 위즈너의 글 없는 그림책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16권 / 6호 / 189 ~ 201페이지
    · 저자명 : 문철, 이유림

    초록

    글이 없는 글 없는 그림책은 낱장의 묶음으로 연결된 그림의 이해만으로 이야기의 의미를 파악해야 한다. 독자가 글 없는그림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림이 연속적으로 자연스럽게 읽혀야 하고, 독자가 이야기에 몰입하게 하려면 그림은 현실에서 일어나는 것과 같은 사실감이 들도록 해야 한다. 즉, 글 없는 그림책에서 그림을 어떻게 선택하고, 연결하고, 조합하느냐에 따라 독자가 글 없는 그림책의 의미를 이해하고 몰입할 수 있다. 이러한 글 없는 그림책의 이야기 구성은 몽타주이론과 유사한 시각적 소통방식을 가지고 있다. 푸도프킨(Vesvolod. I. Pudovkin)의 몽타주 이론은 극적 요소들의 선택과 조립으로 자연스러운 연속성(continuity)을 추구하며, 현실에서 일어나는 것과 같은 느낌(verisimilitude)을 주고자하였다.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푸도프킨 몽타주 이론에 근거하여, 글 없는 그림책의 대표 작가 데이비드 위즈너(David Wiesner)가 어떻게 글 없는 그림책의 그림을 선택하고 연결하고 조합하였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데이비드위즈너는 시선과 행동의 연결로 사건을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하여 독자의 이해를 도왔으며, 현실에서 일어나는 것과 같은 사실감이 들도록 독자의 몰입감을 도왔다. 또한, 컷의 크기를 다양하게 변화하여 배치함으로써 사건이 진행되는 감정을 극대화하여 독자의 몰입을 도왔다. 마지막으로 시각적 연결점이 전혀 없는 컷들을 테두리를 사용하여 의미상으로 묶어줌으로써 독자가 자연스럽게 사건을 이해할 수 있게 해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그림의 역할은 독자들이 상상력과 창의력을 발휘하여 적극적으로 그림 읽기에 참여하도록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글 없는 그림책을 이해하고몰입하기 위해 중요한 그림의 역할을 몽타주 이론에 근거하여 이해하는 데 의미가 있다.

    영어초록

    Image-text plays a critical role in a wordless picture book. For the reader to comprehend a wordless picture book, pictures should be naturally read in a continuous manner; for the reader to immerse themselves in the story, the pictures should convey the sort of realism that the events depicted feel like actually happening. In other words, the ways in which pictures are selected, linked, and assembled in a wordless picture book help the reader understand and get immersed in the book. The story construction of a wordless picture book has a similar mode of visual communication to the mode described by Montage Theory. Proposed by Vesvolod. I. Pudovkin, Montage Theory explains how the logical connection of shots, namely, their continuity, conveys verisimilitude—as if the events were happening in real life. Based on Pudovkin’s Montage Theory, this article examines how David Wiesner, a leading author of wordless picture books, selects, links, and assembles pictures in writing his wordless picture books.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it turned out that Wiesner helped his readers understand the text by providing the events with a sense of continuity through the linkages of points-of-view, and helps them get immersed in the story by lending it verisimilitude through linkages of actions. He also varies the cut sizes and juxtaposes them to maximize the emotional effects of those events and further fuel the readers’ fascination. Lastly, the author utilizes the edges of cuts, which do not have any visual connections to one another, and bundles them semantically, so that the reader can understand the events.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critical role of picture text in wordless picture books in helping understand and get immersed in the books based on Montage The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