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90년대 여성 섹슈얼리티 재현의 문제 : 장선우의 <너에게 나를 보낸다>를 중심으로 (The Issue of Representing Woman’s Sexuality in the 1990s : With Priority Given to Sun-woo Jang’s )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7 최종저작일 2021.11
24P 미리보기
1990년대 여성 섹슈얼리티 재현의 문제 : 장선우의 &lt;너에게 나를 보낸다&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상문화지평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반영과 재현 / 1권 / 2호 / 5 ~ 28페이지
    · 저자명 : 김예니

    초록

    1990년대라는 ‘시대’의 지배적 심상과 감각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가로 장정일을 꼽을 수 있는데 그의 작품을 영화화한 장선우의 영화 중 <너에게 나를 보낸다>를 중심으로 장선우가 왜 장정일 작품을 영화화했는지 살펴보면서 특히, 장선우가 영화로 재현하고 있는 여성의 섹슈얼리티의 문제를 중심으로 논의하려 한다. 그전에 살펴볼 것은 1990년대의 상황이다. 1980년대 에로 영화가 있었다면 1990년대에는 에로비디오를 중심으로 에로티시즘이 형상화되었는데, 2000년대부터는 인터넷의 보급으로 많은 영상들이 디지털화 되면서 에로티시즘을 재현하는 극영화의 양상이 많은 변화를 보였다. 이런 변화의 과정에서 영화 <너에게 나를 보낸다>는 장선우의 1990년대 작품 중 1990년대 섹슈얼리티가 재현되는 양상을 가장 잘 보여주는 영화라 할 수 있다. 장선우는 원작을 기반으로 <너에게 나를 보낸다>를 기획하면서 ‘가벼운 포르노그라피’를 표방했다. 장정일에게나 장선우에게나 남성 인물의 ‘찌질함’이 중요한데, 이들은 사회적으로 실패했으며 성적으로 ‘불능’인 남성들이다. 그들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중요한 생산성이라는 덕목을 갖추지 못한 사람으로 경제적인 생산성도, 사회적 생산성도, 성적 생산성도 없는 인물들이다. 특히, 남성 주인공인 <작가>와 그의 친구 <은행원>은 작품 생산성과 성적 기능의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작가>는 현대 사회에서 꿈꾸기를 포기하고 현재의 질서를 받아들이는 것으로 자신의 생산성을 포기하는 모습을 보인다. 적극적으로 사회 안으로 편입하기보단 권력되기를 포기함으로써 현대사회의 부정성을 드러낸다. 다음으로 장선우는 기존 에로 영화와 다르지 않게 여성의 육체를 재현하는데, <너에게 나를 보낸다>의 특징이라고 한다면 정사 시퀀스에서 배경음악이나 특별한 소품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에로티시즘을 구현할 때 ‘날 것’의 느낌을 준다. 특히, <바지 입은 여자>의 엉덩이가 강조되는데 이는 여성의 존재를 지우고 ‘엉덩이’로 페티쉬즘이 강화되면서 여성 육체에 대한 물화현상이 강화되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이 영화에서 여성 인물은 여성의 섹슈얼리티, 여성의 성욕, 여성의 욕망을 드러내지 못한 채 남성 인물들의 욕망이 투사되는 대상이 된다. 이는 장선우 감독이 이후, 전위성을 잃는 원인이 된다.

    영어초록

    Jeong-il Jang can be cited as a representative writer who shows the dominant image and sense of the ‘era’ of the 1990s. This study examines why Sun-woo Jang made Jung-il Jang’s work into a film, focusing on Jang Sun-woo’s <Sending Me to You>, and discusses, in particular, the issue of women’s sexuality that Jang Sun-woo represents as a movie.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situation in the 1990s. There was an erotic film in the 1980s, and eroticism embodied erotic videos in the 1990s. Since the 2000s, the pattern of film dramas representing eroticism changed as videos were digitized because of the spread of the Internet. In the process of this change, the movie <Sending Me to You> is one of the best movies to show the representation of sexuality in the 1990s among Jang Sun-woo’s works in the 1990s. Sun-woo Jang advocated “light pornography” while planning <Sending Me to You> based on the original novel. The nerd things of male characters are essential for both Jang Jung-il and Jang Sun-woo, and these male characters have failed socially and are sexually impotence. They do not have the virtue of productivity, an important factor in a capitalist society, and are described as not having economic, social, and sexual productivity. In particular, the male protagonist “Writer” and his friend “Banker” show the correlation between work productivity and sexual function. <Writer> presents who gives up dreams in modern society and his productivity by accepting the current public orders. It reveals the negativity of modern society by giving up a social authority rather than actively incorporating them into society. Next, Sun-woo Jang represents a woman’s body, not different from the existing erotic film. The characteristic of <Sending Me to You>, however, he gives the feeling of “raw” when implementing eroticism by not using background music or special props in the sex sequence. materialization of a woman’s body is strengthened because he emphasizes the buttocks of “Women in Pants” by erasing the presence of women and strengthening the fetishism with “butts.” In this film, female characters become the objects that reflect male characters’ desires without revealing women’s sexuality, women’s sexual desire, and women’s desires. It causes the director Sun-woo Jang to lose his avant-garde characterist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2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