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탈(脫)냉전기 인도의 "중앙아시아 연결 정책(Connect Central Asia Policy)" (India’s “Connect Central Asia Policy” in the post-Cold War Era)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6 최종저작일 2012.12
24P 미리보기
탈(脫)냉전기 인도의 "중앙아시아 연결 정책(Connect Central Asia Policy)"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세계지역학회
    · 수록지 정보 : 세계지역연구논총 / 30권 / 3호 / 178 ~ 201페이지
    · 저자명 : 이지은

    초록

    탈냉전 직후 인도는 새롭게 재편된 국제질서에 대한 두려움과 과거 냉전 시기 안락함에 대한 향수 사이에서 방황하며, 상황에 따라 극도의 가변적이고 불확실한 대외정책을 전개했다. 그러나 1998년 핵실험 성공은 인도가 국제무대에 당당히 복귀하는 계기가 되었고, 이후 인도의 대외정책의 기조는 적극적 실리 추구와 함께, 동방정책, 서방정책, 북방정책 등 지역별 맞춤 지역화(regionalization) 전략으로 구체화 된다. 특히 북방정책을 구체화한 “중앙아시아 연결 정책”은 미, 중, 러 등 주요 강국의 이해와 경쟁이 심화되는 유라시아 대륙의 요충지에 인도의 존재감을 강화함으로써 21세기 신흥강국으로서 위상을 제고하려는 장기적인 목표를 가지고 있다.
    인도에게 중앙아시아가 지닌 전략적 가치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는데, 먼저 2000년대 이후 가파른 경제 성장을 뒷받침할 막대한 에너지 자원의 안정적 수급이며, 두 번째는 전통, 비전통적 안보 위협에 대한 공동대응을 통한 역내 안보문제 해결이다. 특히 인도는 중앙아시아에 접근하기 위해 지리적으로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을 통과해야 하는데, 양국 모두 인도와 중앙아시아 안보를 위협하는 이슬람 무장 세력과 분리주의 집단의 근거지로 지목되고 있다. “연결 정책”은 중앙아시아 국가들과 정치, 안보, 경제, 문화적 연결이라는 접근 방식을 채택, 장기적으로 인도가 이들 국가들에게 러시아, 미국, 중국 외에 신뢰할 수 있는 제 3의 강대국으로 부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연결 정책”의 주요 특징을 요약하자면, 첫째, 인도의 대 중앙아시아 정책이 기존의 소극적 대응수준에서 벗어나 주도적, 사전 대비적 정책으로 전환하고, 둘째, 정상급 대화를 지속하는 한편 다양한 분야에서의 민간 교류(Track 1.5, 2 수준)를 확대하여 인도-중앙아시아 관계의 저변 강화하고자 한다. 셋째, 상하이협력기구(SCO), 남아시아지역협력연합(SAARC) 등과 같이 영향력 있는 지역기구, 체제를 활용하여 역내 문제에 대해 다자적인 접근을 모색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인도의 대 중앙아시아 정책은 유라시아 중앙부에 강대국으로서 자국의 위상정립이라는 장기적인 전략아래 단기적, 구체적 방안으로 풍부한 에너지 자원에 대한 접근, 다자적 틀을 통해 역내 안보위협해결을 위한 인도, 중앙아시아의 협력을 제도화 하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India’s post-Cold War foreign policy reflect the pervasive complexity in the international relations. Some have claimed that the foreign policy in this period attests to the “infinitely malleability” of India's international identity. However, the 1998 nuclear tests have become an important turning-point in India’s post-Cold War foreign policy formulation. They reveal its progress toward a more active and confident foreign and security policy. Since then India’s foreign policy orientations have been specified and elaborated by developing distinct external policies towards different global regions, namely the “regionalization” of India’s foreign policy. The “Connect Central Asia Policy” which shaping up “Look North Policy” seeks for the following long-term goals: a) strengthening India’s presence at the Eurasian pivot (Central Asia) where US, Russia, and China’s national interests collide; b) and raising its status as a 21st emerging power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main interests of Indian government towards Central Asia are identified with the “Connect Central Asia Policy” which India is seeking for actively integrating with the region on the based of political, security, economy, and cultural aspects. India in the long-run wants to be a strategic partner to the individual Central Asian states especially in the energy and security domains. Securing energy supply is top priority for India which now witnesses rapid economic development while stability in Central and South Asia has been threatened by the frequently occurred terrorists attacks. As well-known, to be organically connect Central and South Asia, the stability in Afghanistan and Pakistan is the prerequisite condition.
    In this regard, India’s “Connect Central Asia Policy” are identified with the following features: as first, India has changed its foreign policy characteristics previously from ‘reactive’ to ‘pro-active’ with the obvious purposes. Also, India tries to make chances for the leaders to meet regularly while it also seeks to facilitate the civilian exchanges at the level of Track 1.5 and 2. For third, India intends to actively take advantage of existing regional/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SCO, SAARC so India could have an multilateral approach to the regional issues like Afghanistan reconstruction, drug trafficking, and terrorism.
    In conclusion, India’s towards Central Asia policy, under the long-term strategic seeking for a status as one of the power states in the Eurasian pivot, envisions institutionalization of cooperation with Central Asian states in energy and security issues at the multilateral framewor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세계지역연구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30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