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탈냉전기 안보개념의 확대와 네트워크 패러다임 (Extending the Concept of Security in the Post-Cold War Era and the Network Paradigm)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6 최종저작일 2007.12
33P 미리보기
탈냉전기 안보개념의 확대와 네트워크 패러다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방대학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국방연구 / 50권 / 2호 / 23 ~ 55페이지
    · 저자명 : 민병원

    초록

    이 논문에서는 탈냉전 시대를 거쳐 21세기로 접어든 오늘날의 상황에서 안보 패러다임이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가에 대하여 탐색하고 있다. 급격하게 변화하는 세계정세를 올바로 이해하고 그에 부합하는 형태로 안보담론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이 논문에서 강조하는 점이다. 이를 위해 우선 20세기의 안보개념을 전체적으로 살펴보고 있으며, 특히 냉전기와 탈냉전기의 안보개념이 어떻게 바뀌었는가를 먼저 검토하고 있다. 냉전기의 안보관념이 철저하게 군사전략적 관점에서 수립되었다면, 탈냉전기의 안보관념은 다양한 행위자와 사회 분야에 걸쳐 안보의 주체와 대상, 적용영역이 폭넓게 확대되고 있다는 점을 특징으로 꼽는다. 특히 1990년대에 들어와 안보개념을 이론적으로 확대한 코펜하겐 학파의 이론을 상세하게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이 논문에서는 탈냉전기, 특히 21세기의 새로운 안보문제를 진단하는데 있어서 코펜하겐 학파의 확대된 안보개념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또한 9·11 사태 이후에 테러와 같이 비정형화된 위협이 등장하고 있는데, 이러한 위협에 대해서는 기존의 전통적인 패러다임으로 대응하는 일이 비효율적이라는 점이 강조된다. 마찬가지 맥락에서 오늘날 미국의 대(對)테러정책은 근대 국민국가 중심의 발상을 넘어서지 못하는 잘못된 패러다임에 기반하고 있음을 논의하고 있다. 결국 이 논문에서는 코펜하겐 학파의 이론을 뛰어넘어 본질적으로 새로운 안보 패러다임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새로운 안보 패러다임은 구조적 차원에서 세계정치가 네트워크화 되어가는 추세와 위험인식의 차원에서 복합적인 세계위험사회가 등장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네트워크 시대의 안보는 이제 위험사회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더불어 타국의 안보에 대한 고려, 특히 ‘이탈’의 옵션이 확산되지 않도록 제도적인 장치를 구축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에 대한 해답을 직접 제시하지 않고 있지만, 적어도 그러한 방향을 지향하는 첫 걸음은 오늘날의 안보상황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올바로 구축하는 일이라는 점을 분명하게 밝히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rs the transformation of the current security paradigm in the twenty-first century. It stresses that the discourse of security should be reorganized so as to reflect the changing situations of world politics. For this, the paper starts with the general review of security concepts in the previous century with its focus on the changing concepts of security between the Cold War and Post-Cold War eras. While the security concepts in the Cold War era had been established based on the military-strategic perspective, those in the Post-Cold War era are featured by their expansion in security subjects, objects, and application areas across diverse actors and social aspects. The paper, in particular, reviews the theory of the Copenhagen School which has expanded the traditional security paradigm in the 1990s. It also introduces the theory of securitization in which a social issue is being escalated into a security issue.
    The paper, however, argues that it is not enough for us to stay with the Copenhagen School in understanding the new security problems in the Post-Cold War era, especially the twenty-first century. It also emphasizes the emergence of non-conventional threats since the 9-11 incident and the necessity of a new, more efficient strategy against them. The security paradigm of the United States for counter-terrorism in these days are criticized in the paper as it does not overcome many problems of the old state-centered perspective. As such, this paper concludes that we need an essentially new security paradigm in this era beyond the theory of the Copenhagen Schoo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