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의 냉전기 봉쇄와 탈냉전기 봉쇄 비교: 대북제재에 주는 시사점 (A Comparison of the Cold War era Containment and Post-Cold War era Blockade of the U. 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6 최종저작일 2020.12
32P 미리보기
미국의 냉전기 봉쇄와 탈냉전기 봉쇄 비교: 대북제재에 주는 시사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북한학연구 / 16권 / 2호 / 43 ~ 74페이지
    · 저자명 : 이혁희, 김용현

    초록

    지금까지 70년 동안 북한 앞에는 봉쇄에 무릎을 꿇을 것이냐 아니면 이를 돌파할 것이냐의 선택지만 주어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렇듯 봉쇄는 북한 체제 생존에 있어 매우 중차대한 문제이며 발전을 위한 선결과제이다. 동시에 한반 도의 주인인 우리에게도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봉쇄의 본질과 성격, 목표와 목적 그리고 앞으로의 방향에 대한 능동적 고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미국의 냉전기 봉쇄전략(Strategies of Containment)의 봉쇄와 탈냉전 이후 북한에 가해진 봉쇄(Blockade)양상의 비교를 통해 이 문제를 접근해 보고자 한다.
    냉전기 미국의 봉쇄는 팽창하는 소련의 영향력을 세력균형의 중심축인 유럽·일본에 대한 경제적·군사적 지원을 통해 복원하여 차단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반면 탈냉전기 봉쇄는 미국 주도 질서를 파괴하는 세력 또는 국가에 대한 응징적 성격을 본질로 하는 강압적 봉쇄이다. 냉전기 봉쇄와 탈냉전기 봉쇄는 의도와 목적이 다름에도 포위와 봉쇄를 통해 상대방을 굴복시켜 목표를 달성한 다는 본질적 특성을 공유하며 특히 그 수단에 있어서는 매우 유사하다.
    미국은 봉쇄전략을 통해 자유주의 질서 구축과 소련 붕괴라는 실제 목표를 달성했다. 이 전략의 성공요인은 자칫 봉쇄가 ‘외부의 적에 의해 내부의 독재를 강화’하는 데 이용되면 안된다는 점을 강조하여 피봉쇄국가 국민 스스로 자기의 행동을 바꾸도록 유도했다는 점이다. 반면에 미국의 대북 봉쇄는 유효성에 대한 논란과 함께 북한 주민들의 반감을 일으켜 정권 유지의 도구로 활용될 우려도 나타나고 있다. 또한 남북관계의 공간을 허용하지 않음으로써 결과적으로 한반도평 화프로세스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영어초록

    So far,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North Korea has only been given the option of kneeling or breaking through the blockade of sanctions and pressure.
    The blockade issue is a very important issue for the survival of the North Korean regime and a prerequisite for economic development.
    At the same time, it is also a challenge for South Korea, which is the master of the Korean Peninsula issue.
    Therefore, active consideration is needed about the essence and character of the blockade, its goals and objectives, and its future direction.
    This study aims to approach this problem by comparing the containment in the Strategies of Containment of Cold War era with the blockade pattern imposed on North Korea after the Post-Cold War era.
    The U.S. containment strategy of the Cold war era aims to restore the central pillars such as West Europe and Japan through economic and military support for quarantine to Soviet and to build the balance of power with their own confidence in order to block the growing Soviet influence.On the other hand, the blockade in the Post-Cold War era is a coercive policy, which is based on the nature of punishing forces or countries that destroy the U.S.-led order.
    The containment strategy is considered a successful strategy because it has achieved the building a liberal order and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The success factor is that the containment should not be used to strengthen internal dictatorship by external enemies.
    And because the containment allowed the Liberal to regain confidence and balance, encouraging the people of the sealed state to change their behavior.
    On the other hand, the current U.S. policy of blockade on North Korea seems to be used as a tool to maintain North Korea regime, causing antagonism among North Koreans.
    In addition, the U.S. policy of blockade is negatively affecting inter-Korean relations by disallowing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o engage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북한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