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외 학생들이 경험한 학교에서의 삶-또래관계 소외 속 살아냄을 중심으로- (Life at school experienced by underprivileged students -Focusing on living in the alienation of peer relationship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6 최종저작일 2022.04
28P 미리보기
소외 학생들이 경험한 학교에서의 삶-또래관계 소외 속 살아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교원교육 / 38권 / 2호 / 473 ~ 500페이지
    · 저자명 : 김윤영, 박종률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또래관계 소외 학생들이 경험한 학교에서의 삶을 현상학적으로 분석하여 소외 속살아냄을 구체적으로 드러내고 소외 현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목적을 둔 체험연구이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A시 B고등학교 3학년 재학생 중 유목적 표집과 타당성 검증을 거쳐8명을 선정하였다. 심층면담, 참여자 회고록, 소외 관련 영화 감상문을 통해 연구 참여자의 소외 경험을수집하였고 귀납적 주제 분석법을 이용하여 중심의미, 드러난 주제, 본질적 주제의 순서로 범주화가 이루어졌다. 도출된 주제는 Max van Manen이 제시한 4개의 근본적 실존체(four fundamental existentials)인신체성, 시간성, 공간성, 관계성의 차원으로 배열하여 또래관계 소외 학생의 삶을 현상학적으로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또래관계 소외 학생들이 살아내는 학교에서의 삶을 분석한 결과 총 53개의 중심의미와 20개의드러난 주제가 발견되었으며, 이를 범주화하여 최종적으로 9개의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또래관계소외 학생들은 신체성 차원에서 ‘이승에서 체험한 지옥’, ‘한계상황 봉착’, ‘내몰린 외줄타기’, 시간성 차원에서 ‘고난의 뫼비우스’, ‘잃어버린 삶의 시간’, 공간성 차원에서 ‘친숙한 땅에서의 유배’, ‘갈 곳 없는낭떠러지’, 관계성 차원에서 ‘끊어진 체인’, ‘군중 속 고독’의 삶을 살아내고 있었다. 또래관계 소외는 크게잠재적 교육과정 속 또래문화와 수업 장면과 같은 정규교육과정에서 일어나고 있었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관심과 역할에 관해 논의하였으며, 교사는 소외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와더불어 예방에 중점을 두고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소외를 예방할수 있는 교사의 노력 방안을 제시하였고, 소외 관련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영어초록

    Purpose: This study is an experiential study with the purpose of phenomenologically analyzing thelife experienced by students who are marginalized in peer relationships at school, revealing in detailhow to live in alienation, and comprehensively understanding the phenomenon of alienation.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3rd grade students of B high schoolin A city, Gyeonggi-do, after nomadic sampling and validation. The experience of alienation of thestudy participants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participant memoirs, and movie reviewsrelated to alienation, and categorization was made in the order of central meaning, revealed themes,and essential themes using an inductive thematic analysis method. The derived themes were arrangedin the dimensions of physicality, temporality, spatiality, and relationality, which are the four fundamentalexistentials suggested by Max van Manen, to phenomenologically grasp the lives of students alienatedfrom peer relationships.
    Results: A total of 53 central meanings and 20 revealed themes were found as a result of analyzingthe lives of students living in peer-relationship marginalized schools. Finally, 9 essential themes werederived by categorizing them. In terms of physicality, students who are alienated from peer relationshipsare ‘experienced hell in this life’, ‘limited situations’, and forced to walk a tightrope. In terms oftemporality, ‘Moebius of hardship’, ‘time of lost life’, and spatial dimension ‘in a familiar land’ Hewas living the life of ‘exile’, ‘a cliff with nowhere to go’, ‘broken chain’ in terms of relationship,and ‘solitude in the crowd’. Peer-related alienation was largely occurring in the regular curriculum,such as peer culture and class scenes in the potential curriculum.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teachers' interests and roles were discussed, andit was concluded that teachers should make continuous efforts focusing on prevention as well as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alienation. Lastly, teachers' efforts to prevent alienation were presented,and follow-up studies related to alienation were sugges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원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5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