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리나라 콜시장에서의 유동성 효과: 공개시장조작 자료를 이용한 분석 (The Liquidity Effect in the Korean Call Market: Evidence from Daily Open Market Operation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08.03
29P 미리보기
우리나라 콜시장에서의 유동성 효과: 공개시장조작 자료를 이용한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금융학회
    · 수록지 정보 : 금융연구 / 22권 / 1호 / 107 ~ 135페이지
    · 저자명 : 권태용, 강영관

    초록

    본 논문에서는 2006년 1월 9일~2007년 10월 22일 동안의 콜금리와 한국은행의 일별 지급준비금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콜시장에서의 유동성 효과를 분석하였다.
    EGARCH 모형을 이용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에서는 지급준비금 적립 마감 1~4일을 제외하고는 지준적립기간 중의 대부분의 날에서 유동성 효과가 발견되지 않았다. 특히 미국이나 일본과 달리 지준마감일에 유동성 효과가 크지 않았는데, 이는 한국은행이 과거 지준마감일에 예금은행의 지준과부족을 시장금리와 큰 차이가 없는 금리수준에서 해소해 주던 유동성 조절 관행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둘째, 2006년 11월 23일 지준율 인상 발표 이후 유동성 효과가 그 이전 기간 보다 커졌다. 이는 한국은행의 공개시장조작이 지준율 인상 발표 이후에는 시장개입 빈도를 줄이고 지준마감일에는 시장금리보다 높거나 낮은 금리로 지준과부족을 해소하는 방식으로 변경된 데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한국은행의 공개시장조작이나 외생적 요인에 의한 지급준비금 변동에 대하여 현행 통화정책 운용목표인 콜금리보다 국내은행의 콜차입금리가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행 운용목표인 콜금리가 은행 뿐 아니라 지준적립의무가 없는 제2금융권의 거래량과 거래금리까지 가중평균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넷째, 지급준비금의 증가와 감소가 각각 콜금리에 미치는 효과가 비대칭적이었는데 이는 은행들이 지급준비금이 부족할 때 처할 수 있는 평판손상(stigma)을 회피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ere seems to be a consensus among financial market participants in Korea that as the overnight call rate has been almost fixed at the target level, regardless of liquidity supply and demand conditions in the money market, its functions of market information signaling and liquidity allocation have greatly weakened. Also, restricted volatility of the call rate has led to an over-concentration of short-term funds in the overnight call market and the drying-up of term transactions in the money market. Accordingly, the transmission channel running from the call rate to short-term interest rates and long-term interest rates has not been able to function properly.
    Considering the drawbacks in the call rate targeting framework, the Bank of Korea (BOK) has recently reformed its monetary policy operational framework. This reform includes the change of the policy rate from the call rate to the BOK’s Base Rate applied to transactions between it and financial institutions, the regularization of open market operations and the introduction of standing facilities.
    In order to empirically verify this consensus by estimating the liquidity effect in the Korean call market, we use the daily aggregate level of reserves calculated by the Bank of Korea while preparing open market operations during January 2006~October 2007. We apply the EGARCH model to estimate the liquidity effect. Our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unlike in other overnight inter-bank markets in foreign countries, we cannot find a liquidity effect on most days of the reserve maintenance period except during the one-to four-day period before settlement day (the end day of the maintenance period). Particularly, there is only a very weak liquidity effect even on settlement day - unlike the case in inter-bank markets in most foreign countries, where it is strong. This may be attributed to the BOK’s liquidity management practice of absorbing excess liquidity or supplementing for liquidity shortages at the market rate on settlement day. In addition, the higher aggregate level of reserve balances in comparison with settlement demand in the banking system is associated with the smaller liquidity effect in the Korean call market. These factors have contributed to the fixedness of the call rate.
    Second, we find that since the announcement of the increase in reserve requirements in November 2006, the liquidity effect has become stronger than before. This is because the BOK has changed its method of liquidity management to encourage banks to adjust their reserves in more moderate ways. The BOK has minimized liquidity adjustments on settlement day and reduced the number of market interventions during the maintenance period. This has led banks to pay more attention to changes in the aggregate level of reserves than before. In this sense, the BOK’s new framework, which has less frequent but more regular market intervention, is expected to alleviate the fixedness of the call rate.
    Third, what we refer to as “the banks’ call rate,” calculated based on the rates quoted by commercial banks only, responds more sensitively to a change in reserves than the overall call rate (the BOK’s operating target and policy rate), which weighs the rates quoted by all participants in the call market. This may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call loan volume and interest rate have been dominated by asset management companies, which are under no reserve requirement obligation. This means that the BOK’s operating target might not significantly represent changes in demand and supply in the reserve market.
    Finally, the banks’ call rate responds more sensitively to the impact of a reserve decrease than to that of a reserve increase. This asymmetric response of the banks’ call rate to a reserve change reflects the fact that most banks try to avoid the stigma attached to a bank that is short of reserves. This finding indicates that the banks may be reluctant to use the BOK’s newly introduced lending faci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