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地方自治團體의 公的施設의 利用請求權에 대한 기초로서 公用指定 (Die Widmung als Grundlage des Nutzungsanspruchs kommunaler öffentlicher Einrichtungen)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08.09
24P 미리보기
地方自治團體의 公的施設의 利用請求權에 대한 기초로서 公用指定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방자치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방자치법연구 / 8권 / 3호 / 249 ~ 272페이지
    · 저자명 : 조인성

    초록

    독일이나 우리나라 모두 법률에 의하여 ‘지방자치단체의 공적시설’의 개념이 정의되고 있지는 않다. 그렇지만 통상 지방자치단체의 공적시설이란 그 조직에 관한 법적 형식 및 소유권의 귀속 여하를 묻지 않고,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영역에서 직접적으로 생존배려라는 공적 목적에 기여하는, 그리고 당해 지방자치단체의 주민에게 이용청구권이 부여되어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모든 시설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이렇게 어떠한 대상이 이러한 지방자치단체의 공적시설로서의 성격을 갖게 되는 것은 ‘공용지정’에 의해서 이루진다고 할 수 있다. 공용지정이란 어떤 시설의 이용이 지방자치단체의 공공용에 놓인다는 것을 정하는 법적 행위이다. 공용지정은 물건을 공적 이용 하에 둔다는 법적 행위인 것이다. 공용지정은 공법상의 의사표시이기도 하다. 또한 공용지정에는 특별한 법적 형식을 요구하지도 않는다.

    그런데 독일의 경우, 지방자치법은 거의 모든 연방주에서 주민이 현행법의 테두리 내에서 공적시설을 이용할 권리를 갖고 있다는 규정을 내포하고 있다. 각각의 규정은 사안으로 일치하지만, 다만 문언상으로 서로 다소 부합하지 않은 측면도 있다. 독일의 유력한 견해에 의하면, 이런 규정으로부터 공적시설의 이용에 대한 개별 청구권이 생긴다고 한다. 공용지정은 지방자치법상 이용청구권의 테두리 내에서 그 청구권의 전제조건 및 한계의 의미를 더욱 명확히 할 것이다. 공용지정이 충분하면, 그 시설은 공적이 되고, 그러한 한도 내에서 주민의 청구권이 발생할 것이다. 그러나 아울러 공적시설의 이용에 대한 공용지정의 기능은 너무 낮게 평가되고 있다. 이미 공용지정은 기초지방자치단체로서 게마인데가 ‘자기구속 및 자기의무부과를 위하여 법을 창조하는 행위’로서 이용청구권의 근거가 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그 공용지정은 지방자치법 규정의 테두리 내에서는 단지 쉽지 않을 수 있는 이용문제에 대하여 실무에 적합한 해결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서 지방자치단체의 공적시설의 이용에 관한 문제는 지방자치법상의 규정들만 가지고는 결코 쉽게 풀어갈 수 없다고 본다. 공적시설 설립의 법적 형식이나 이용관계의 형성과는 별개로, 이용청구권의 기초로서 각각의 근거규정들을 지나치게 요구하는 측면이 있다. 그러나 만약 지방자치단체의 공적시설의 이용에 대한 기초로서 공용지정을 원용하게 되면, 이러한 문제를 현격하게 줄여나갈 수 있다고 본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게마인데의 ‘자기구속 및 자기의무부과를 위한 법 창조행위’로서 공용지정은 이용청구권에 관한 게마인데법 규정을 고려할 필요도 없이, 이미 지방자치단체의 공적시설의 이용에 대한 개별 청구권의 근거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이용청구권에 대한 기초로서 공용지정은 단지 지방자치법상 이용규칙의 틀에서 어렵거나 전혀 도달할 수 없는 문제에 대한 해결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영어초록

    Das Kommunalrecht fast aller Bundesländer enthält eine Vorschrift über die Nutzung öffentlicher Einrichtungen, nach der die Einwohner im Rahmen des geltenden Rechts berechtigt sind, die öffentlichen Einrichtungen zu benutzen. Die jeweiligen Vorschriften stimmen in der Sache überein und weichen nur im Wortlaut geringfügig voneinander ab. Nach nahezu einhelliger Ansicht folgt aus diesen Vorschriften der Anspruch des einzelnen auf Benutzung öffentlicher Einrichtungen. Der Widmung komme im Rahmen des kommunalrechtlichen Nutzungsanspruchs nur die Bedeutung einer Anspruchsvoraussetzung, genauer: einer Anspruchsbegrenzung, zu. Soweit die Widmung reiche, sei die Einrichtung eine öffentliche, und insoweit bestehe ein Anspruch des Einwohners. Damit wird jedoch die Funktion der Widmung für die Nutzung öffentlicher Einrichtungen unterschätzt. Bereits die Widmung begründet als rechtsschöpferischer Akt gemeindlicher Selbstbindung und Selbstverpflichtung den Nutzungsanspruch. So verstanden ermöglicht die Widmung auch praxisgerechte Lösungen der Nutzungsproblematik, die im Rahmen der kommunalrechtlichen Vorschriften nur schwer möglich sind.

    Die Problematik der Nutzung kommunaler öffentlicher Einrichtungen läßt sich im Rahmen der kommunalrechtlichen Vorschriften nur schwer lösen. Als Grundlage eines Nutzungsanspruchs unabhängig von der Rechtsform der Einrichtung und der Ausgestaltung des Nutzungsverhältnisses sind die jeweiligen Vorschriften überfordert. Die Probleme lassen sich jedoch reduzieren, wenn als Grundlage für die Nutzung kommunaler öffentlicher Einrichtungen die Widmung herangezogen wird.

    Zusammenfasend begründet die Widmung als rechtsschöpferischer Akt der Selbstbindung und Selbstverpflichtung der Gemeinde bereits den Anspruch des einzelnen auf Nutzung einer kommunalen öffentlichen Einrichtung, ohne daß es eines Rückgriffs auf die gemeinderechtlichen Regelungen des Nutzungsanspruchs bedarf. Die Widmung als Grundlage des Nutzungsanspruchs erlaubt zugleich auch Lösungen, die im Rahmen der kommunalrechtlichen Benutzungsvorschriften nur schwer oder gar nicht erreichbar si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방자치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