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ㆍ사의 인정이론적 경계 긋기 -악셀 호네트에서 사랑의 인정을 중심으로- (Divis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Under the Perspective of Recognition Theory - Based on Love in Axel Honneth’s Recognition Theory -)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0.04
34P 미리보기
공ㆍ사의 인정이론적 경계 긋기 -악셀 호네트에서 사랑의 인정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와 철학 / 39호 / 1 ~ 34페이지
    · 저자명 : 장성빈

    초록

    가정의 일들을 공적 영역으로 끌어내 비로소’ 문제’로 간주하게 된 것은 현대 페미니즘 이론의 위대한 성과들 중 하나다. “사적인 것이 정치적인 것”이라는 소위 “제 2물결 페미니즘”의 구호가 말해주듯이, ‘사랑’은 더 이상 정의의 담론에서 유리되어 순수한 것으로 남아있을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우리는 여전히 사적인 것이 개인의 삶에 있어 중요하다는 감각 또한 갖고 있다. 결국 이 두 입장 사이의 적정선을 규정하는 작업은 불가결한 과제로 우리 앞에 주어지게 되었다. 『인정투쟁』에서 악셀 호네트는 헤겔의 인정이론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사랑, 권리, 그리고 연대라는 세 인정 형식을 정립한다. 이 세 가지 인정형식 각각에 해당하는 인정이 충족될 때에만 한 개체의 좋은 삶이 가능해진다는 점에서, 인정은 행복한 삶을 위한 불가결한 조건이 된다. 그러나 사랑이라는 인정형식이 가진 모호함은 이 기획의 완수를 지체시킨다. 새로운 공사구분을 확립하려는 페미니즘 이론가들은 그의 모델을 맹렬히 비난한다. 호네트가 전개한 사랑의 인정 모델이 마치 “남성중심적” 공‧사의 구분을 반복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인정의 형식이 물리적 영역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을 보임으로써 호네트를 이러한 가혹한 비난으로부터 구제하는 동시에, 인정이론적 공‧사 구분의 가능성을 사랑의 고유한 태도로 제시되었던 돌봄 개념을 중심으로 모색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One of the achievements of modern feminist theory is that it brought the affair of the home into the public realm and considered it as ‘problematically’. As the slogan of “second wave feminism”, which speaks about “private is political”, love is no longer free from the discourse of justice. On the other hand, we still have a sense that privacy is important to our personal lives. The task of defining the proper line between these two positions is an crucial. In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Axel Honneth reinterprets Hegel's theory of recognition into the modern one and establishes three forms of recognition: love, rights and solidarity. Recognition is an indispensable condition for a good life that the individual's ‘good life’ is only possible when the recognition for each of these three forms of recognition are fulfilled. The ambiguity that is presented in the form of recognition of love, however, delays the completion of this project. Feminist theorists, who try to establish a new division, criticize the model of Honneth. Honneth’s model of recognition of love seems to repeat the history of “male-centered” division. By showing that the form of recognition is not limited to the material place, this paper seeks to relieve the Honneth’s recognition theory from the criticism and explores the concept of caring, which has been presented as a unique attitude of love, as the possibility of recognition theory on public and private distin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2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