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再公化(재국영화・재공영화)에 관한 공법적 연구 — 독일의 논의를 중심으로 — (Eine öffentlich-rechtliche Studie über Die Rekommunalisierung — besonders im Hinblick auf die Diskussion in Deutschland —)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0.02
30P 미리보기
再公化(재국영화・재공영화)에 관한 공법적 연구 — 독일의 논의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행정법이론실무학회
    · 수록지 정보 : 행정법연구 / 60호 / 191 ~ 220페이지
    · 저자명 : 황선훈

    초록

    再公化는 공공임무의 수행 또는 공공서비스의 제공에 있어서 私化되었던 영역을 다시 공공주체에게 환수하는 것을 말한다. 再公化의 유형에는 조직 再公化, 임무 再公化, 재산 再公化, 혼합 再公化형식으로 구분할 수 있고, 주체에 따라 국가에 의한 재국영화와 지방자치단체에 의한 재공영화로 분류할 수 있다. 요컨대 再公化는 경향의 문제로서 즉, 私化된 영역에서 再公化되는 변화과정을 포괄한다. 이러한 再公化의 양태는 ① 경쟁자 또는 독점자로서의 공공주체를 통한 임무의 재수행, ② 임무의 수행을 위한 경쟁자 또는 독점자로서 자기회사의 설립, ③ 운영서비스의 재이전, ④ 자본회사에서 공법적 조직형식으로의 전환, ⑤ 공사혼합 기업의 회사지분 증가 등으로 나타날 수 있다.
    再公化는 보장국가의 반대운동인가와 관련하여 국가는 보충책임에 의해 사적 주체를 통한 공공임무의 수행이 공공복리에 적합하지 않고 기대하는 성과를 얻을 수 없을 때, 이를 보완하는 사후 통제의 제도를 전개시킬 필요가 있다. 보장국가에서 국가는 어떤 私化된 공공임무에 관한 책임이 보장책임, 보충책임에서 다시 이행책임으로 전환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계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판단할 의무가 있다. 보장국가에서 국가는 공공임무가 어떤 방식을 통하여 수행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지, 공공주체를 포함한 어떤 주체 또는 어떤 조합에 의해 수행될 때 가장 효과적인지를 장기적인 관점에서 계속적으로 전략을 수립하고 결정해야 한다. 국가는 선택의 자유를 통해 私化를 결정하더라도 완전히 그 책임으로부터 도피할 수 없다. 그 결과 私化된 공공임무의 수행과 공공서비스의 제공에 관한 최종책임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여전히 남아있다. 따라서 보장국가에서도 보장책임의 실현을 위한 적절한 규제체제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잠재적 보충책임을 지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再公化를 선택하는 것은 가능하다.
    독일의 기본법, 지방자치법, 공공조달법, 에너지경제법은 再公化에 관하여 명시적・직접적인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다만, 법률우위 차원에서의 규범적 틀과 再公化를 기존의 법제도 하에서 진행하는 경우 법규정의 해석을 통하여 그 한계를 설정할 수 있다. 공공주체는 행정의 법률적합성의 원칙에 구속되기 때문에 再公化의 과정도 법적으로 자유로운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기본적으로 再公化는 법률우위 차원에서 헌법에 합치되고 관련 법령에 반하지 않는 범위에서 진행되어야 하며 법률유보원칙에 따라 법적 근거가 필요하다.
    독일 대법원판례에 따르면 지방자치단체가 재공영화를 위하여 기존의 사업자와 계약 만료 이후 자기기업에게 에너지사업권을 이양하는 경우에도 에너지경제법에 따라 공개입찰을 통해 진행해야 하며, 불공정금지의 원칙과 투명성 요청을 준수해야 한다.

    영어초록

    In der vorliegenden Arbeit geht es um die öffentlich-rechtliche Studie über Die Rekommunalisierung in Deutschland. Die Rekommunalisierung bedeutet die vollstandige oder partielle Reintegration ehemals vollstandig oder partiell privatisierter Aufgaben in das unmittelbare Gestaltungsregime kommunaler Gebietskoperschaften. Rekommunalisierung hat eine Diskussion über zentrale Fragen des Verwaltungs, aber auch des Öffentlichen Wirtschaftsrechts angestoßen. Diese Gegenbewegung zur Privatisierungswelle begegnet allerdings auch deutlicher Zurückhaltung.
    Die nähere dogmatische Aufbereitung der Rekommunalisierung könnte – ähnlich wie bei der Privatisierung – typisierend ansetzen und eine Art „Rekommunalisierungstypologie“ entwerfen. Insgesamt lassen sich mindestens vier Rekommunalisierungstypen unterscheiden: Vermögensrekommunalisierung, Organisationsrekommunalisierung, Aufgabenrekommunalisierung, Hybride Rekommunalisierungsformen. Das Phänomen der Rekommunalisierung ist wie folget: Wiederaufgreifen von Aufgaben durch einen Verwaltungsträger (als Konkurrent oder Monopolist), Neugründung von Eigengesellschaften zum Aufgreifen von Aufgaben (als Konkurrent oder Monopolist), Rückübertragung operativer Dienstleistungen, Überführung von Kapitalgesellschaften in öffentlich-rechtliche Organisationsformen, Erhöhung des Gesellschaftsanteils an gemischtwirtschaftlichen Unternehmen.
    Die Rekommunalisierung ist kein Gegenwelle des Gewährleistungsstaat, sondern eine wechselseitige Beziehung. Die Öffentliche Hand hat die Auffangverantwortung letztendlich für öffentliche Aufgaben. Rechtsgrundlage für die Rekommunalisierung ist das Grundgesetz, EU-recht, Kommunalrecht, Vergaberecht(GWB) und EnWG. Im Verfahren KZR 65/12 und KZR 66/12 müssen Gemeinden den Konzessionär für ihr Stromnetz in einem diskriminierungsfreien und transparenten Verfahren auswählen. Das gilt auch im Fall der Übertragung an einen Eigenbetrieb.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