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유저작물의 상표권 주장에 관한 고찰-도서 「어린왕자」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Claims for the Trademark Right of Works in Public Domain ; Based on a book titled ‘the Little Prince’)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09.06
31P 미리보기
공유저작물의 상표권 주장에 관한 고찰-도서 「어린왕자」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출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출판학연구 / 35권 / 1호 / 5 ~ 35페이지
    · 저자명 : 김기태

    초록

    이 연구는 공유저작물에 대한 상표권을 주장함으로써 출판계에 논란을 불러일으킨 사례를 중심으로 “산업재산권으로서의 상표권과 문화성이 강한 저작권의 차별적 특성을 중심으로, 두 가지 권리가 충돌하였을 때 그 판단기준은 무엇인지” 살피는 데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를 수 있었다.
    첫째, 저작재산권이 소멸된 저작물로서의 삽화와 제호를 상표로 인정할 수 있는가?
    도서의 제목은 그 책의 내용을 표시할 뿐 출판사 등 그 출처를 표시하는 것은 아니어서 원칙적으로 그 상품을 다른 사람의 상품과 식별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표장이 아니므로, 책의 제목으로 사용된 표장에 대하여는 그 표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등록상표의 상표권의 효력이 미치지 않는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저작재산권이 소멸되어 공유의 상태에 있는 저작물에 대하여 새로운 권리로서의 상표권을 부여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둘째, 저작권과 상표권이 충돌하는 경우 어떤 것이 우선하며, 그 판단기준은 무엇인가?
    사례를 통하여 살핀 결과 도서 『어린왕자』의 상표권을 주장하는 쪽에서는 “스토리를 문제 삼는 것이 아니라 상표로 등록된 이미지를 도용하거나 모방했을 경우 법적 조치를 하겠다는 것”임을 주장하면서 “『어린왕자』의 상표권은 보호받는 것이 당연하다”고 한다. 그러나 연구 결과 상표권 침해는 상표로 사용하였을 경우에만 해당하며 상표로 등록된 그림이라도 특정상품과 구별하기 위한 의도가 아니라면 도서로서의 『어린왕자』에 수록된 경우에는 상표권 침해로 보기 어렵다는 결론을 얻었다. 나아가 “책에 쓰인 해당 그림과 글자는 상표가 아니라 콘텐츠의 일부인 저작물”이며 따라서 도서 『어린왕자』에 대한 상표권 주장은 곧 ‘상표권의 남용’에 해당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Based on actual cases of claims for trademark right of works in public dom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imarily focus upon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of trademark right (as an industrial property) and copyright (with strong cultural nature), and find out “what could be the judgment criteria for potential conflicts of those two rights.” And follow- up discussions starting from questions set to achieve the above goals hereof could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s it possible to accept illustration and title - works without validity of copyright and property - as a part of trademark?
    The title of book indicates its content, but doesn't show any source including publisher. Besides, it is basically not a binding used to discriminate one product from the other. So it could be here found that the binding used for title of a book has no validity of trademark right vested in same or similar registered trademark. Particularly, it was concluded that it would be inappropriate to vest trademark right as a new right to any work in public domain without validity of copyright and property.
    Secondly, if copyright comes into conflict with trademark right, which one may precede the other? And what are the judgment criteria for this question?
    As examined with actual cases, a party claiming for trademark right of a book titled ‘the Little Prince’ holds that “they will take reasonable legal actions against plagiarism of certain images as registered trademark, not bring the story of book into question,” and assumes that “their right to trademark of ‘the Little Prince’ must be protected from any unauthorized use.” However, this study could come to a conclusion that only the unauthorized use of a title for the purpose of trademark is construed as the violation of trademark right, and even a certain illustration registered as trademark can be hardly construed as violation of trademark right when it is contained in a book titled ‘the Little Prince’, unless the user has no intention to discriminate it from other certain products. Furthermore, it was concluded that “relevant illustrations and letters contained in book are not trademarks but (copyrighted) works as a part of content,” so the claims for trademark right of a book titled ‘the Little Prince’ are about “misappropriation of trademark righ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출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