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본주의 불평등에 맞서는 공적 인간의 복원: 리처드 세넷의 비판사회학 (Public man Facing Inequality: Critical Sociology of Richard Sennett)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5.03
31P 미리보기
자본주의 불평등에 맞서는 공적 인간의 복원: 리처드 세넷의 비판사회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사회사상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사상과 문화 / 18권 / 1호 / 119 ~ 149페이지
    · 저자명 : 유승호

    초록

    신자유주의가 초래한 불평등은 오늘날 그 대가를 치르고 있다. 그것은 생활의 영역에서 일의 영역까지 전 영역에 걸쳐져 있다. 불평등은 일상생활에서는 개인에게 수치심과 모멸감을 안겨주었고 일의 영역에서는 노동자들의 기업에 대한 신뢰, 고용주에 대한 충성, 작업장에서의 공동체 문화, 스스로 동기화된 업무 책임감을 화석화시켰다. 리처드 세넷은 그의 연구에서 현대사회가 경제적 불평등만큼이나 시민적 불평등으로 고통 받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세넷은 그런 비판에만 골몰하지 않고 ‘움츠러든 중산층’을 위한 온전한 삶과 공동체에 대한 고민을 시도한다. 그것은 새로운 인센티브 방식의 프로그램이 아닌, ‘장인’과 ‘협력’, 그리고 ‘도시’라는 ‘삼각론’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세넷의 삼각론에 대해 집중적으로 고찰할 것이다. 그 과정에서 세넷이 자본주의 보완재로서의 복지시스템이 갖는 허점을 비판하는 것에 주목하여, 허약한 복지 시스템이 개인의 ‘성인 발달 기회’를 빼앗아 ‘자기 의존’의 기회가 박탈되는 사회적 결과를 논할 것이다. 세넷의 비판이론은 상호 존중과 상호 인정, 자기 의존과 자기 존중이 공존하는 ‘자유로운 개인의 공적인 인간화’를 추구한다. 이는 자기 인생의 이야기를 완성함으로써 독립적이며 자기배려적 ‘인격’을 완성하는 ‘반디불적 시민’과 같다. 결론적으로 세넷의 궁극적 연구목표란 타인을 인정하고 상호소통하며 자아를 완성해가는 공적 인간의 복원임을 확인할 것이다.

    영어초록

    Richard Sennett's discourses provide us with the view of not only the personal consequences of change in the nature of work and life but also their effects during the flexible capitalism. He takes up the corrosion of character as moral dimension of a person's identity and the flexibilities and uncertainties of current working life are eroding the integrity of the self, the sense of voluntary loyalty to employer and the motivated responsibility for their mission. This article, in response to “withdrawal of the people in the middle” lamenting the fall of public man, argues that urban residents and workers are constantly remaking public space of cities and redefining the human character through their lived experience of craftsmanship and collaboration. Following post-Richard Sennett research, this article questions the insistence on a traditional welfare state, which is competing “counter-publics and counter-adult development,” and blurring of self and public. In conclusion, Sennett's arguments for revitalizing public man over meritocracy and private gossips reveal the confirmation of futuristic model of better society, suggesting new forms of “firefly citizenship” and offering new critical arenas of soci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