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UN 지속가능발전 목표 16의 세부목표 7에 따른 공적 결정의 과제 (Some Public Law Issues on 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16 Target 7)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8.10
20P 미리보기
UN 지속가능발전 목표 16의 세부목표 7에 따른 공적 결정의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공법연구 / 47권 / 1호 / 379 ~ 398페이지
    · 저자명 : 이현수

    초록

    유엔은 2015년 17개의 지속가능발전목표를 선언하였는데, 특히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평화롭고 포용적인 사회를 확대하고, 누구나 정의에 접근할 수 있게 하며, 모든 단계에서 효과적이고 책임성 있으며 포용력 있는 제도를 구축함”을 목표 16으로 선언하고 있다. 또한 목표 16을 위한 12개의 세부목표를 선언하고 있는데, 그 가운데 세부목표 7은 “반응성과 포용성을 갖추고, 참여적이고 대표성 있는 의사결정을 모든 차원에서 확보할 것”을 선언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유엔 지속가능발전의제에 대한 화답으로서 녹색성장법, 지속가능발전법을 제정하여 중앙과 지방 차원의 지속가능발전기본계획 수립의무, 두 계획간의 협의와 조정, 지속가능발전지표에 따른 지속가능평가제도 등을 도입하였으며 지속가능발전위원회를 설치하여 정책에 대한 의견제시를 할 수 있게끔 하였다. 각국의 공법질서가 유엔의 지속가능발전 의제에 조응하는 근본적인 방도로서, 기존의 인류 중심적이고 현재 중심적인 정치 및 법시스템을 개혁하여 자연과 미래세대의 이익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들이 제안되고 있다. 헌법 차원에서는 국회 구성의 다양화, 미래세대의 이익을 대변하는 행정조직 개편, 자연의 법인격성을 천명하는 생태주의 헌법의 제정 등이 시도되고 있다. 세부목표 7이 요구하고 있는 공적 의사결정의 반응성과 관련하여서는 국토와 관련한 행정의 계획재량과 주민투표의 기속성간의 조화문제가 세부적인 쟁점으로 부각될 수 있으며 포용성과 관련한 세부쟁점으로는 외국인행정에서의 사전적, 사후적 절차보장문제가 논의될 필요가 있다. 참여성과 관련하여서는 최소한의 요건으로서 언론의 자유, 집회의 자유와 같은 소통기본권의 보장, 소통의 질을 결정짓는 요소인 국정 운영의 투명성의 보장과 같은 고전적인 공법의 테마들이 지속가능발전의제의 맥락에서도 다시금 조명받고 있다.

    영어초록

    The United Nations declared 17 goal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2015, and stated, in particular, “Promote peaceful and inclusive societi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provide access to justice for all and build effective, accountable, and inclusive institutions at all level” as the 16th goal. In addition, 12 targets are defined for goal 16 as a sub-goal, among which target 7 states, “Ensure responsive, inclusive, participatory and representative decision-making at all levels.” Republic of Korea, a member of the United Nations, has also established the Green Growth Act an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ct to establish a basic pla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t the central and local levels. It also stipulated consultation and coordination procedures between the two plans. We also introduced the Sustainability Assessment System and set up the Sustainable Development Committee to make comments on the policy. As a fundamental way in which the public law system responds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genda, there are proposals to reform the system of a​nthropocentrism and present-mindedness to take into account the interests of nature and future generations. At the Constitutional level, diverse constitutions of the National Assembly, restructuring of the administration to represent the interests of future generations, and the enactment of the ecological constitution, which declares the legal personality of nature, are attempted. Regarding the responsiveness in the public decision making process, the problem of harmonization between the planning discretion of the administration related to the land and binding effect of the local referendum can be highlighted as an administrative law issue. With regard to the inclusiveness of public decision, there are several problems of guaranteeing the ex ante and ex post procedures in foreigner related administrative activities. Regarding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classical public law themes such as freedom of speech, freedom of assembly, and transparency of state administration is being illuminated again as a minimum requirement of particip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