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공성은 공-기표인가?: 에너지 노동-환경 담론과 공공성을 중심으로 (Publicness: an Empty Signifier?: A Case Study of the Electricity Restructuring and Energy Transition Discourse)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0.06
45P 미리보기
공공성은 공-기표인가?: 에너지 노동-환경 담론과 공공성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판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제와 사회 / 126호 / 209 ~ 253페이지
    · 저자명 : 최규연

    초록

    공공성 실현을 가치 논리로 삼는 정치 담론이 증가하면서 공공성의 의미에 대한 의문 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는 전력산업 정책에 관한 담론에서 나타난 공공 성 개념에 대한 ‘공-기표(empty signifier)’ 분석을 통해 공공성이 담론을 구성하는 용 어로서 가지는 의미를 탐색한다. 공-기표란 기의가 고정되지 않고 활용 맥락에 따라 최 적화된 의미를 생성하는 기표로 복합적 현실에 상존하는 모순과 불가피성을 비가시화 해 현실을 수용하고 의사결정과 행위 수행을 정당화하는 효과를 가진다. 전력산업 구조 개편과 에너지 전환에 대한 네 가지 담론을 분석한 결과, 공공성 기표는 일면 각종 맥락 특수적 의미를 생산하고 현실 해석을 단순화함으로써 기표 활용 주체가 의도한 정책 결 정을 이루도록 하는 공-기표로서의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사후적으로는 공공성이 가 진 의미구조의 특성으로 인해 이러한 기표 활용은 진정성에 대한 비판의 유발로 이어지 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노동-환경 연대의 합의 도출을 위한 담론 생성에서 공공성은 현안의 재해석과 대안의 도출을 견인하는 본의가 채워진 개념으로 활용되면서 공-기표 효과에 반하는 담론적 진전을 가져왔다. 이를 종합해 보면, 공공성은 전략적 공-기표로 머무르기에는 취약한 의미구조를 가진 개념이며, 숙의를 구성하는 소통의 틀 안에서 대 안적 정치 담론을 형성할 수 있는 기표임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Publicness has become increasingly prevalent in political discourse. This paper aims to discover the discursive effects of the term publicness by employing the notion of empty signifier. An empty signifier is a term that produces diverse meanings according to context, which in effect simplifies the understanding of reality and leads to unconsidered actions. This empirical study analysed four discourses on the restructuring of the power industry and energy transition in South Korea: the neoliberal reform discourse, the state-ownership discourse, the natural common resource discourse, and the energy labour-environmental discourse. The results suggest that publicness clearly functioned as an empty signifier that was strategically mobilised to influence particular government decisions, while such a use of the term ex post provoked the criticisms of the self- interest behind the claim of publicness. On the other hand, the term also facilitated the reinterpretation of the public purposes of electricity supply, particularly in the labour-environmental discourse. This constructive discursive dynamic emerged from the effort of the labour unions and environmental organisations to reach consensus in order not to break off their alliance.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ublicness easily turns into an empty signifier, whereas the communicative conditions that promote deliberation enable the term to fulfil its potential for developing advanced approaches to contentious issu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제와 사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