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장상황별 주식공매도가 변동성에 미치는 질적 특성에 관한 연구 (The Impact of Short Selling on Volatility Depending on the Stock Market)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4.02
15P 미리보기
시장상황별 주식공매도가 변동성에 미치는 질적 특성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업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업경영연구 / 21권 / 1호 / 85 ~ 99페이지
    · 저자명 : 최용준, 김철중

    초록

    본 연구는 최근 4년간 공매도를 허용했던 시기를 주식시장의 상황이 달랐던 두 시기로 나누어주식공매도가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를 하였다. 분석기간은 주식공매도 거래가 허용 되었던2009년 6월 1일-2011년 8월 9일(구간 1:주식시장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시기)과 2011년 11월 10일-2013년 11월 22일(구간 2:주식시장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시기)로 나누었다. 각각의 연구기간 동안 KOSPI시장에서 주식 공매도 거래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졌던 100종목을 주식공매도 거래비중 순으로 순서대로나열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포트폴리오 구성종목의 일별 주식공매도 거래비중이 포트폴리오 구성종목으로 이루어진 일별 주가수익률 변동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상황별 질적 특성에 대해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구간의 전체기간으로 분석을 했을 경우, 구간 1에서만 주식공매도 거래비중이 높은 종목들로만 구성했을 때, 주식공매도 거래비중이 주가수익률 변동성에 유의한 양(+)의영향을 미쳤다. 둘째, 각 구간을 포트폴리오 일별 주가수익률이 음(-)인 날만 분석을 했을 경우, 구간 1에서는상위 100종목으로 모두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도 주식공매도 거래비중이 주가수익률 변동성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쳤지만, 구간 2의 경우는 주식공매도 거래가 가장 활발했던 상위 10종목으로 포트폴리오를구성했을 때만 주식공매도 거래비중이 주가수익률 변동성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각 구간을포트폴리오 일별 주가수익률이 양(+)인 날만 분석을 했을 경우, 구간 1은 주식공매도 거래 비중이 주가수익률변동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구간 2에서는 주식공매도 거래비중이 높은 종목들로만 포트폴리오를 구성했을 경우, 주식공매도 거래비중이 주가수익률 변동성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쳤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a research on the impact of short selling on volatility duringthe last 4 years when short selling was allowed by dividing the period into two periods when thestock market situation was different.
    The analysis period is divided as the period when short selling was permitted in 2009 June 1st~ 2011 August 9th (duration 1: the period when stock market volatility was relatively high) and2011 Nov. 10th and 2013 Nov. 22nd (duration 2: the period when stock market volatility wasrelatively low).
    During the research period, the portfolio was made through various methods by listing as pershort selling trading basis of the 100 stock items which were most actively traded in the KOSPImarket, and analysed what effects the daily short selling trade weight of the portfolio compriseditems brought to the daily stock earnings rate volatility comprised of portfolio comprised item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n the case the analysis is made by the total periodof each duration, when the portfolio was made up with high trading rate short selling in only duration1, the short selling trading weight gave a plus(+) impact to the stock earnings rate volatility.
    Secondly, when the analysis was made upon each durations as per the portfolio's daily stockearnings rate in (-) days, in duration 1 even when the portfolio was comprised of upper 100 items,and the short selling trade weight gave an impact to the stock earnings rate volatility to be plus(+),in case of duration 2, the short selling trade weight gave a plus(+) impact to the stock earningsrate volatility when the portfolio was comprised by the upper most active short selling 10 items.
    Thirdly, when the analysis on each duration was made by the portfolio as per the daily stockearnings rate in plus (+) days, in duration 1 the short selling trade weight did not bring any impactto the stock earnings rate volatility.
    However, in duration 2 when the portfolio was comprised of high trading short selling items,the short selling trade weight gave a minus (-) impact to the stock earnings rate.
    Eventually, when the volatility of the stock market is relatively high and when the portfolio ismade up of items that were traded actively in short selling, as the short selling trading weight increases short selling volatility gets higher and its impact is more bigger when the stocks earnings rate isminus (-). In the case the stocks earning rate is plus(+), the short selling trading weight does notgive an impact to the stock earnings rate volatility.
    On the other hand, in the period when the stock market volatility is relatively low, as the shortselling trade weight is higher the stock earnings rate volatility did not get higher, and even whenthe stocks earnings rate was minus(-), only when the short selling trade weight is comprised ofthe upper 10 items did the stocks earnings rate volatility get higher as the short selling trade weightgot higher.
    Also, when the stocks earnings ratio turned into plus(+) and when the portfolio was made byactive short selling trade items, it turned out that the volatility of stocks earnings rate was lowas the short selling trade weight increa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업경영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