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리나라 고등어와 갈치 어획량의 계절별 공간자기상관성에 관한 연구 (Seasonal Spatial Autocorrelation of Mackerel and Hairtail Catches in Korea)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4.10
9P 미리보기
우리나라 고등어와 갈치 어획량의 계절별 공간자기상관성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해양환경안전학회
    · 수록지 정보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30권 / 33 ~ 41페이지
    · 저자명 : 이창헌, 남종오, 박철형, 권오민, 손진곤, 정민경, 황철희, 김영윤, 이문숙

    초록

    본 연구는 공간기반 속성의 유사성을 측정하는 공간자기상관 분석을 이용하여 주요 어종인 고등어, 갈치 어획량의 계절별 공간분포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비공간적 자료로 수행했던 과거 통계기법으로는 발견하기 어려웠던 어종별 어획량의 공간적 패턴을 파악하고 분포 특성을 이해할 수 있었다. 분석자료는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연근해어업의 격자별 월별 고등어, 갈치 어획량 자료를 이용하였고, 계절별 공간자기상관 분석을 위해 봄, 여름, 가을, 겨울로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공간적 자기상관 분석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인 Maran's I 검정 방법을 이용하였다. Moran's I 분석에는 공간적 인접성에 따라 가중치를 설정하는 접근성 기준과 격자들 간의 거리를 기준으로 가중치를 설정하는 역거리 기준을 적용한 총 8가지의 공간가중치 행렬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고등어와 갈치의 계절별 어획량은 겨울철 갈치를 제외하고 8개 공간가중행렬 모두 양(+)의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종별로는 고등어가 여름, 가을, 겨울, 봄의 순으로 공간적 자기상관성이 높은 반면에 갈치는 여름, 가을, 봄의 순으로 높았다. 겨울철 갈치 어획량은 공간적 자기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we quantitatively analyzed the seasonal spatial distribution of catches of two major commercial fish species in Korea, mackerel and hairtail, using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which measures the similarity of spatially based attributes. This approach enabled us to identify spatial patterns and thereby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atch of each species, which have hitherto been difficult to ascertain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based on non-spatial data. As data for analysis, we used grid-based monthly mackerel and hairtail landings from 2020 to 2022, which were divided into spring, summer, fall, and winter categories for seasonal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performed using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 Moran's I test. We used a total of eight spatial weighting matrices, with an accessibility criterion that sets weights based on spatial proximity and an inverse distance criterion that sets weights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lattices. With the exception of hairtail catches in winter, the analysis revealed that seasonal catches of mackerel and hairtail were positively spatially autocorrelated in all spatial weighting matrices. In terms of species, mackerel showed the highest levels of spatial autocorrelation in the order summer > fall > winter > spring, whereas for hairtail, the spatial autocorrelation from highest to lowest could ordered as summer > fall > spring. Contrastingly, the winter catch of hairtail showed no spatial autocorrel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해양환경안전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