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정희 정부 시기 기능경기대회의 도입과 ‘엘리트’ 기능공들의 임계 (The introduction of National Skills Competition and Criticality of ‘Elite’ Skilled Workers)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7.06
44P 미리보기
박정희 정부 시기 기능경기대회의 도입과 ‘엘리트’ 기능공들의 임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역사연구 / 32호 / 211 ~ 254페이지
    · 저자명 : 장미현

    초록

    1964년 이후 박정희 정부는 기능인력 증대와 공업선진국 한국의 이미지 창출을 위해 국제기능올림픽 참가를 결정했다. 초기에는 국위선양과 한국 상품의 이미지 제고를 통한 수출증대라는 경제적 목적이 강했지만 대회를 직접 주관하고 있던 제 단체들과 이 단체들을 감독한 노동청은 청소년 기능공들의 기능 측정, 기능향상, 그리고 청소년 기능공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와 기능이 우대받는 사회를 만든다는 사회적 목표를 표방했다.
    주최 측의 우려와는 달리 목표는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 무엇보다 청소년 기능공들의 호응이 컸다. 청소년 기능공들의 참여와 경쟁이 심화된 배경에는 학교와 기업 간 경쟁이 있었다. 기업의 경우, 소속 선수가 우수한 성적을 거둘 경우 기업의 기술력이 뛰어나다는 이미지 제고뿐만 아니라 정부가 지원하는 사업 선정에도 유리했다. 국가와 학교, 기업, 개인의 이해가 맞아 비교적 단기간에 기능경기 대회는 정착했다. 이 대회로 인해 부의 축적과 고시 합격, 항력 상승과 같은 요인 외에 기능, 나아가 기술이 성공 요인으로 인정받는 시대로 접어들었다. 일부의 엘리트 기능공들은 이런 시대적 변화를 타고 개인적 계층 상승을 이뤘다. 그러나 기능우대사회를 형성하기 위해 도입된 기능경기대회는 기능공들 내부의 치열한경쟁의 장이었다. 박정희 정권이 만든 기능우대사회는 기능을 가진 모든 기능공들이 자신의 기술력으로 인정받는 사회가 아닌, 경쟁에서 승리한 기능공들을 선별해 혜택을 부여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청소년 기능공들에게 주어진 가장 큰 혜택은 대학진학의 기회 부여였다. 역설적으로 가장 우수한 기능공들부터 탈 기능공화를 시도했다. 그 결과 기능우대사회를 만들기 위해 도입된 기능경기대회의 수상 특혜가 학벌과 학력 중심을 강화하는 효과를 창출했다. 이 과정에서 최고의 기능을 가진 일부 ‘엘리트’ 기능공들마저도 학력과 학벌 중심의 사회로부터소외를 느꼈다. 사실 ‘기능공존중사회’는 생산직 노동자의 사회적 지위 자체를 높여야 가능한 것이었다. 기능공의 지위 향상이나 학력중심사회의 타파는 결국생산 자체에 종사하고 있던 노동자들의 사회적 지위가 그 외 직업 종사자들과 비슷해져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1980년대 이후 기능우대, 노동존중의 사회를 만들어 간 것은 국가가 아닌 노동자들 자신이었다.

    영어초록

    Since 1964, Park Chung Hee government has decided to participate in the International Vocational Training Competition to increase the number of skilled workers and to create an image of a developed industrial country in Korea. In the early years, the economic purpose of increasing exports by enhancing the image of Korean products and strengthening national prestige was strong. However, the organizations that directly supervised the conventions and Office of Labor Affairs that supervised these organizations were responsible for measuring the skills of youth workers, And the social goal of creating a society in which changes in social perceptions and skills are favorable.
    Unlike the organizer's concerns, the goal was accomplished successfully. First of all, the response of youth workers was great. There was competition between the school and the company in the backdrop of the participation and competition among the youth workers. In the case of companies, if the participants perform well, it is advantageous to enhance the image that the company has superior technology, and it was also advantageous to select a business supported by the government. have settled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because the interests of the state, schools, corporations and individuals are same. This competition has brought us to the era when skills and technologies are recognized as success factors in addition to factors such as accumulation of wealth, acceptance of examination, increase in academic ability. Some of the ‘elite’ craftsmen have achieved this level of personal change by taking advantage of these changes.
    However, This competition which was introduced to form a society that treats skills was a field of fierce competition within them. The society that treats skills created by Park Jung-hee regime took the way of selecting beneficiaries of the competitors who won the competition rather than a society in which all the skilled workers with the skills were recognized by their own skills. The greatest benefit to award-winning practitioners was the opportunity to advance to college, and paradoxically, the most talented practitioners attempted to seek escape from their existing status. As a result, the award privilege of the competition which was introduced to create a preferential society created the effect of strengthening the academic center. Even some 'elite' technicians who have the best function in this process felt alienated from the academic and academic centered society.
    In fact, 'Respectful workers' society was able to raise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status of skilled workers or the breakdown of academic-centered society can only be achieved if the social status of the workers engaged in production itself is similar to those of other occupations. And since the 1980s, it was the workers themselves, not the state, who created a society of skill preference and respect for labo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