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공기관 대상 인권실태 조사모델에 대한 제안: 지방공기업을 중심으로 (Proposal for Human Rights Survey Model for Public Corporation: Focusing on Regional Public Corporation)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2.04
10P 미리보기
공공기관 대상 인권실태 조사모델에 대한 제안: 지방공기업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영컨설팅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영컨설팅연구 / 22권 / 2호 / 291 ~ 300페이지
    · 저자명 : 정성환, 김종근

    초록

    인간이라면 당연히 소유해야 할 기본적인 권리인 인권이지만 최근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주요한 이슈가 되고 있으며, 국가적 책임문제로서 인식됨에 따라 공공기관의 인권 또한 높은 사회적 관심을 받고 있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인권과 관련된 주요한 국가기관으로서 인권보장 및 향상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해왔으며, 최근 들어 인권영향평가제도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관리함으로써 공공기관의 체계적인 인권경영을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인권경영의 기초적인 토대를 제공할 수 있는 인권실태에 대한 조사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일반국민들을 대상으로 국가인권위원회가 개발하였던 인권실태 조사모델에 근거하여 공공기관에 적합한 인권실태 조사모델을 제안하고, 조사모델을 근거하여 지방공기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반적인 인권수준을 파악하고자 한다.
    먼저 기존에 개발된 인권실태 조사모델에 근거하여 지방공기업과 같은 조직 대상 인권실태 조사모델을 제안하였다. 기존 일반 국민 대상 인권실태 조사모델의 경우 4개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문별 핵심조사항목을 지방공기업에 적합하도록 단순화하여 수정함으로써 본 연구에서는 5개 부문으로 조사모델을 재설계하였다. 다음으로 재설계된 조사모델에 근거하여 전체 지방공기업 인권경영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설문데이터를 활용하여 지방공기업들의 인권수준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모델에 포함된 5개 부문에 걸쳐 전반적으로 양호한 인권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기본적인 인권요소로서 인식되고 있는 시민·정치·사회·경제·문화적 권리 등의 하위요소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인권교육 및 인권인식수준은 다소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Human rights, which are the basic rights that humans should naturally possess, have recently become a major issue not only in Korea but also around the world, and human rights in public institutions are also receiving high social attention as they are recognized as a national responsibility issue.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has continued to make efforts to guarantee and improve human rights as a major national institution related to human rights, and recently, it has actively introduced the human rights impact assessment system. In recent years, the human rights impact assessment system has been actively introduced and managed to induce systematic human rights management of public institutions. However, active management of human rights, which is the core foundation of human rights management, is not being carried out properly.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proposes a human rights status survey model suitable for public institutions based on the previously developed human rights status survey model, and collects data from local public enterprises based on the survey model to under the survey model.
    First, based on the existing human rights survey model developed for the general public, a human rights survey model for organizations such as regional public corporations was proposed. The existing human rights survey model for the general public consists of four categories, and the survey model was redesigned into five categories by simplifying and modifying core surveys for each sector to suit regional public corporations.Next, based on the redesigned survey model, a survey was conducted on human rights management managers of all regional public corporations, and the human rights level of regional public corporations was attempted to be identified using the survey data. It was analyzed that the overall human rights level was good across the five sectors included in the survey model.In particular, sub-elements such as civil, political,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rights recognized as basic human rights elements showed relatively high levels, and human rights education and human rights awareness levels were somewhat insuffici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영컨설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