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교육 제도에서 공공성의 한계와 교육의 다양성 모델의 검토 (An Arguments of the Model for Diversity of Education as a Limitation of the Public Nature i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9.12
32P 미리보기
공교육 제도에서 공공성의 한계와 교육의 다양성 모델의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법과인권교육연구 / 12권 / 3호 / 1 ~ 32페이지
    · 저자명 : 김종호

    초록

    우리는 교육이라는 말을 들으면 바로 학교를 생각한다. 교육에는 학교 외에 가정교육, 사회교육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학교가 교육행위 중의 비율이 가장 크기 때문이다. 학교 자체는 중세 이후 계속 존재하였지만 국민들의 교육에 대한 인식 하에서의 학교 즉, 의무교육의 단계인 초등학교는 불과 100년 남짓의 역사밖에 가지고 있지 않다. 그렇지만 특히 한국에서는 사람들이 학교의 단계에 상관없이 기대하는 것이 상상외로 크다는 것은 엄연한 사실이다. 학교에 진학해서 수학한 후 원하는 학력을 얻는다면 우리의 인생은 장밋빛 전망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교육의 담당자인 교사는 절대적 권위를 가지고 있었으며, 가정교육이나 사회교육의 기능도 학교의 교사에 맡겨 왔다. 이렇게 학교가 국가의 통제에 따라 공공성을 강화하는 것이 최고의 선(善)으로 여겨졌던 것이다. 근대국가 성립 이후 공교육의 기본이념을 공공성과 민주주의 실현으로 파악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 사람들의 학교불신, 교사불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다시 말해 학교의 공공성에 대한 의구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현대사회의 대중성은 획일화 움직임과 연결되었다. 수월성 교육과 다원성 교육이 공존하는 교육제도는 불가능한 것인가? 본고는 획일화와 대척점에 있는 교육의 특성으로서 다양성을 들고 공교육 제도의 한계와 과제에 대한 몇 가지 논쟁을 검토하고 전망을 논하였다. 특별히 ‘공교육의 장으로서의 학교’에서는 전통사회의 교육, 학교의 출현과 역할, 우리 공교육의 특징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학교교육의 공공성의 한계’와 관련하여 교육격차와 교육의 공공성 및 학교교육의 재구축에 대해 논의하였다. ‘학교 만능주의의 반성과 학교재건 가능성으로서 학교교육의 다양화 시험’을 위해서 자유학교의 문제점과 다원주의 사회에서의 다문화교육을 검토하였으며 공공성의 위기 극복으로서 사학의 건학정신 회복운동에 대하여도 논술하였다.

    영어초록

    When we hear education, we think of school. This is because schools have the largest proportion of educational activities in spite of the existence of home and social education in addition to school. Although the school itself has existed since the Middle Ages, the school, which is a stage of compulsory education, has only a history of more than 100 years in the public’s awareness of education. However, in Korea, it is quite true that people expect what they expect from school at all levels. If we go to school and study and get the education we want, I think our life is rosy. Therefore, the teacher who is in charge of education had absolute authority, and the function of home education and social education was left to the teacher of the school. In this way, it was considered the best good for schools to strengthen publicity under the control of the state.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modern state, the basic philosophy of public education was understood as the realization of publicity and democracy. However, people’s school distrust and teacher distrust are increasing. In other words, doubts about the publicity of schools are increasing day by day. The popularity of modern society has been linked to the movement of uniformity. Is it impossible to have an education system in which excellence and pluralism coexist? This paper examines and discusses some of the debates and limitations of the public education system, with diversity as a characteristic of education at the same level and in opposition. In particular, the school as a place of public education discussed the education of traditional society, the emergence and role of school, and the characteristics of our public education. In relation to the limitations of the publicness of school education, the educational gap, the publicity of education and the reconstruction of school education were discussed. For the examination of the diversification of school education as a reflection of school universalism and the possibility of school reconstruction, the problems of free school and multicultural education in pluralist society were examined and I also wrote about the restoration of the founding spirit of private education as a way to overcome the crisis of public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