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개발효과성 관점에서 분석한 한국의 공공행정 분야 공적개발원조 (Analysis on Korea ODA for Governance Sector from the Perspective of Development Effectivenes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7.12
26P 미리보기
개발효과성 관점에서 분석한 한국의 공공행정 분야 공적개발원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개발협력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개발협력연구 / 9권 / 4호 / 57 ~ 82페이지
    · 저자명 : 김은주

    초록

    본 연구는 개발효과성 달성을 위해서 영향력(impact), 주인의식(ownership), 적절성(relevance), 포용성(inclusiveness) 원칙이 필요하다고 보고, 한국의 공공행정 분야 공적개발원조사업(ODA)이 네 가지 기준에 비춰 어떤 특징을 나타내는지 분석한 뒤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영향력 면에서 공공행정 분야 ODA 사업들은 최근 오히려 원조사업이 소규모화되고 있어 영향력을 발휘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었다. 둘째, 주인의식 면에서 수원국 시스템을 활용한 원조를 통해 수원국이 정책과정에 참여하도록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아직 수원국 시스템을 이용한 원조는 초기 단계에 불과하였다. 셋째, 수원국의 발전전략과 발전단계에 적절성을 갖추었는지를 공공행정 분야 ODA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전자정부 사업을 대상으로 살펴본 결과, 공급자 위주의 고도화된 시스템 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는 경우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었다. 끝으로 시민사회와 민간의 행위자들의 참여를 보장하여 포용성 확보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공공행정 분야 원조사업은 아직 공공부문 참여자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향후 정책개선방향으로서 수원국 재정시스템을 활용한 원조 및 프로그램형 원조로의 전환, 거버넌스 분야의 수원국 정책대화 참여와 수원국의 발전전략에 부합하는 성과 프레임워크 도입 등을 제안하였다.

    영어초록

    Development effectiveness is supported by four principles: Impact, Ownership, Relevance, and Inclusiveness. Based on this framework, it analyzes South Korea’s grant aid projects in the area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presents policy recommendations.
    Findings of this study confirm that South Korea’s Official Development Aid (ODA) projects for public administration are too small in scale to have tangible impact. Moreover, projects that aim to instill a sense of ownership among recipient countries were still at an elementary stage, marked by failures to build on local financial systems. Although it has been tried to provide development aid according to the level of development in recipient country, this practice has yet to be fully established in African regions or some of Least Developed Countries (LDCs) by providing high-tech e-government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supplier-oriented. Lastly, aid earmarked for public administration was still highly dependent on the public sector, rather than guaranteeing inclusiveness and diversity based on multiple stakeholder participation.
    Results of the analysis above reveals a pressing issue concerning aid projects in the area of public administration. Specific policy suggestions are also identified, such as development of ODA that utilizes local systems of the recipient country, the transition to program-based aid, participation of policy dialogue on governance and establishment of a result framework and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that considers na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of the recipient coun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개발협력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