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얀마 쉐더공 파고다의 정치적 공간으로서의 재현 및 실천 (Representation and Practice of Shwedagon Pagoda in Myanmar: focusing on a political spac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0.08
28P 미리보기
미얀마 쉐더공 파고다의 정치적 공간으로서의 재현 및 실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아시아학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연구 / 23권 / 3호 / 279 ~ 306페이지
    · 저자명 : 김지혜

    초록

    본고는 미얀마 쉐더공 파고다의 공간을 역사문화적 맥락에 따라 그 공간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쉐더공의 공간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다양한 주체들에 의해 이 공간에 대한 소비와 재현이 이루어진다. 전통시대의 역대 왕들은 파고다에 기부와 증축을 하면서 그들의 세력과 정통성을 과시했고 영국 식민정부는 쉐더공 파고다를 군사적으로 활용하면서 신성성을 덮어 이 공간에 대한 의미를 재기입하였다. 독립 이후 군부독재 시기엔 이 공간을 정치적 목적으로 이용하려는 정치동학을 실천했다. 미얀마 군부정권에 대항하는 미얀마 민중들은 이곳을 저항의 공간으로 활용했으며, 군부는 민주화 세력들과의 주장 충돌로 이 공간에 대한 의미 경합을 벌이기도 했다. 민중들 역시 쉐더공의 공간에 대한 다양한 의미의 경합 및 생산을 해오면서 미얀마 역사문화적 맥락에 따라 쉐더공의 공간에 대한 의미는 변화해오고 있다.
    이를 통해 쉐더공 파고다의 공간은 단순히 상좌부불교적 종교공간뿐 아니라 다양한 세력과 행위 주체들에 의해 역사적, 사회문화적으로 변화되어오고 있는 정치적 공간이 되어오고 있음을 재조명하며, 미얀마의 역사문화적 맥락에 있어서 변화해온 쉐더공 파고다의 공간을 살펴봄으로써 미얀마인들이 그들의 문화를 형성해온 방식을 고찰해본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aims to show how Shwedagon Pagoda, located in spatially open and culturally diverse Yangon, was culturally transformed via conflict and integration between Myanmar tradition and colonial/modern practices through historic and cultural situations, which is reflected within the area of Shwedagon Pagoda, and sheds light on the application of Pagoda by Burmese, in accordance with historic and cultural context.
    As the importance of the space of Shwedagon grows, consumption and reproduction of this space are carried out by various subjects. Burmese monarch of the ancient era showed off their power and legitimacy by occupying Pagoda, which was used as military base under British colonial rule while simultaneously becoming ‘a place for spiritual resistance' for Burmese.
    After independence, during the period of military rule(dictatorship), military authority practiced political engineering to use the space for political purposes. the military had a conflict with democratization forces in Shwedagon pagoda. and the people of Myanmar against the military junta used pagoda's space as a place of resistance. As the space of Shwedagon Pagoda has also been competing and producing various meanings for the space. the meaning of the space has changed according to Myanmar's historic and cultural context.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space of Shwedagon Pagoda has been not only a religious space, but also a political space that has been changed in historic and cultural context by various forces and subjects. and we can consider the way Myanmar people have formed their culture by looking into the space of Shwedagon Pagoda in Myanmar's historic and cultural context. through burmese practice and representation, Shwedagon Pagoda will be imaged as basis of Myanmar identity. This is how the people of Myanmar create their own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시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