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가공기업에 대한 지방세 감면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Issues in the Exemption and Reduction of Local Taxes against National Public Enterprises and Their Remedial Measures)

5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4.12
59P 미리보기
국가공기업에 대한 지방세 감면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세연구포럼
    · 수록지 정보 : 조세연구 / 14권 / 3호 / 181 ~ 239페이지
    · 저자명 : 김병일

    초록

    지방자치단체는 국가공기업에 대하여 취득세, 재산세 등 지방세를 감면해주고 있는 반면에 국가는 지방공기업에 대하여 국세인 법인세 등은 과세하는 등 국가공기업에 대한 국세와 지방세간의 조세지원체계가 불합리하고 이로 인하여 지방재정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국가공기업들이 지방세 감면혜택을 누리면서도 이에 부응하는 지역사회에 대한 기여도는 낮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가공기업에 대한 지방세감면의 타당성을 평가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그 목적이 있다.
    우선 국가공기업 등에 대한 지방세 감면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공기업에 대한 감면기준이 미흡하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업은 공공성과 기업성이라는 두 가지 지배원리에 의하여 운영된다. 그런데 국가공기업은 공공성 및 기업성의 정도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누어져 있다. 시장형 공기업, 준시장형 공기업, 기금관리형 준정부기관,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기타 공공기관이 그 것이다. 이와 같이 국가공기업이 공공성과 기업성의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고 있음에도 이에 대한 지방세감면에 대한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 둘째, 지방공기업에 대한 국세의 감면과의 형평성 문제가 제기된다. 지방공기업에 대한 법인세 등 국세의 감면과 국가공기업에 대한 지방세 감면이 형평성 차원의 문제점이 대두된다. 셋째, 지방세 감면액의 증가에 따른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자립도를 악화시킬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지역 공공재의 공급기능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넷째, 지방세 감면을 규정하는 조세특례제한법, 지방세특례제한법의 입법과정이 중앙정부 위주로 이루어져 지방자치단체의 과세자주권을 침해할 소지가 있다. 다섯째, 기타 국가공기업에 대한 직접적인 감면과 일반적 용도별 감면과의 차이점이 모호하고 감면기간의 지속적인 연장 문제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국가공기업 등에 대한 지방세감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공공성 및 기업성의 정도에 따라 국가공기업 등 공공기관에 대한 감면기준 또는 과세전환 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특히 시장형 공기업 및 준시장형 공기업에 대해서는 용도별 감면 이외에 공기업이라는 이유로 감면대상이 되는 것은 가급적 지양하여야 할 것이다. 기업성 제고를 통한 시장에서 경쟁이 필요한 공기업에 대해서는 지방세 감면을 우선적으로 과세로 전환하여야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총수입 중 자체수입의 비중이 높은 시장형 공기업에 대한 지방세 감면은 감면기간이 종료시에 폐지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그리고 최근 민영화 논의가 있었던 한국철도공사 등 준시장형 공기업에 대해서도 동일한 기준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준정부기관은 기금관리형 준정부기관과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으로 세분되는데, 기금관리형은 국민부담으로 조성된 기금 재원을 관리하는 기관으로 좀 더 강한 공공성 적용이 필요하고 위탁정책형은 정부의 정책사업을 위탁받아 대행하는 기관을 의미하므로 이들 기관에 대해서는 지방세를 감면하는 경우에도 기관의 본래의 설치 목적에 부합되는 범위에서만 허용하여야 할 것이다. 이에 대해서도 지방세 감면은 가급적 지양하고 기금재원의 관리, 국가의 정책사업의 수행을 위한 점을 고려하여 국세 위주의 감면이 행하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타 공공기관은 관련 분야의 시장에서 평가가 가능하는 등 민간기업과 경쟁하는 기관의 특성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도에 의한 감면 이외에 이에 대한 지방세 감면정책을 재고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국가공기업 등에 관한 용도별 감면에 대해서는 다른 일반 기업과 동일한 기준에 의하여 감면하되 국가공기업 등 공공기관을 특정하여 감면하는 경우에는 전부 과세로 전환하여 지방자치단체의 과세자주권을 침해하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다만, 국가공기업 등에 대하여 감면하는 경우에는 각 지방자치단체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지방세감면조례를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국가공기업에 대하여 모두 과세로 전환하는 경우 전국적으로 통일성을 기할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방자치단체별로 각각 다르게 감면규정을 적용할 경우 오히려 조세형평을 저해할 우려가 있는 분야에 대해서는 지방세조세특례제한법 등에 감면규정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그 이외의 분야에 대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과세자주권을 존중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기타 국가공기업에 대한 감면세액이 일부 지방자치단체에 편중되어 있는 경우 감면세액 중 일부를 국가 재정에서 보전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Although local governments have reduced and exempted local taxes such as acquisition tax, property tax, and so on, to national public enterprises, the central government has levied the corporate tax, i.e., a national tax, on local public enterprises. Such an irrational tax incentive system between national taxes and local taxes against national public enterprises has aggravated the financial strains of the local government. In addition, some people point out that national public enterprises have benefited from the reduction and exemption of local taxes, while they have not contributed to relevant local communities correspondingly.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policy of reducing and/or exempting local taxes against national public enterprises and to figure out how to remedy the current status.
    First of all, the currently emerged issues related to the reduction and/or exemption of local taxes against national public enterprises are as follows: The first issue is that the criteria of reducing and/or exempting taxes against national public enterprises have not been defined appropriately. In general, a public enterprise has to run based on two principles of dominance: public concern and entrepreneurship. However, national public enterprises in Korea have been classified into various classes according to their degrees of public concern and entrepreneurship, such as market oriented public enterprises, quasi market oriented public enterprises and so on. In spite of such diversity, there are no clear-cut criteria on the reduction and/or exemption of local taxe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national public enterprises.
    Second, there are issues of equity on the reduction and/or exemption of national taxes levied on local public enterprises. In other words, there have been some discrepancies from the aspect of equity in the reduction and/or exemption of national taxes such as corporate tax against local public enterprises and those of local taxes against national public enterprises.
    Third, as the amount of reduced and/or exempted local taxes has grown continuously, it is apprehended that the level of financial self-sufficiency of local governments might be aggravated, which in turn might deter the supply of local public goods and services.
    Fourth, as the Tax Reduction and Exemption Control Act and the Local Reduction and Exemption Control Act, which regulate the reduction and/or exemption of local taxes were designed and enacted mainly for the central government, there are some possibilities of infringing the security of independent taxation rights of local governments.
    Fifth, the distinctions between the direct reduction and/or exemption of taxes against national public enterprises and that of general taxes have been ambiguous, while there might be some issues, such as continual renewal of the time duration of applying the tax reduction and/or exemption, and so on.
    Accordingly, in the study, the author puts forward the following points concerning the reduction and/or exemption of local taxes:First, it would be necessary to formulate criteria on the reduction and/or exemption of taxes or on the transfer in type of taxation against public institutions such as national public enterprises based on their degree of public concern and/or entrepreneurships. Especially, for market oriented public enterprises and quasi market oriented public enterprises, it would be necessary as much as possible to reject them from designating as subjects of the reduction and/or exemption of taxes because they are public enterprises. Such reduction and/or exemption of taxes should be applied case by case based on their purposes. For public enterprises, which need to enhance their competitive advantages by enhancing entrepreneurship, it would be necessary to convert their type of taxation on the preferential basis to take out the benefits of reducing and/or exempting local taxes.
    Second, concerning tax reduction and/or exemption by use for national public enterprises, it would be required to apply the criteria identical to those applied to general companies, except public institutions including some national public enterprises designated to reduce and/or exempt taxes. That is, the taxation types of most national public enterprises should be converted to full taxation not to infringe independent taxation rights of local governments. However, it might be necessary for local governments to take into account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ir local ordinance on the reduction and/or exemption of local taxes to decide whether to provide tax reduction and/or exemption benefits to some national public enterprises.
    Third, when the taxation type of every national public enterprise is converted to full taxation, if each local government enacts a unique and different regulation on tax reduction and/or exemption, then it might deteriorate the equity in taxation. To cope with such cases, it would be required to provide provisions on tax reduction and/or exemption into the Local Tax Reduction and Exemption Control Act. For other areas, the independent taxation right of each local government shall be respected.
    Fourth, when the taxes reduced and/or exempted for national public enterprises are concentrated on several local governments, it would be necessary to devise a plan of supporting a portion of the reduced and/or exempted taxes by the central gover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