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회국가의 실현구조와 토지공개념의 헌법상 의미 (Verwirklichungsstruktur des Sozialstaates und verfassungsrechtliche Bedeutung der Öffentlichkeit des Grundeigentums)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8.02
39P 미리보기
사회국가의 실현구조와 토지공개념의 헌법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공법학연구 / 19권 / 1호 / 3 ~ 41페이지
    · 저자명 : 차진아

    초록

    1987년 제9차 개헌 이후 대한민국은 많은 변화를 겪었다. 그러한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헌법개정이 필요하다는 점에 대해 많은 사람이 공감하고 있다. 그러나 모든 변화를 헌법에 담는 것은 가능하지도 바람직하지도 않다. 한편으로는 헌법이 헌법으로서 기능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들이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헌법개정에 필요한 사회적 현실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개정의 방향 내지 내용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의 형성이 전제되어야 하는데 이를 견해 대립 속에서 어느 한쪽의 입장만 반영하는 방식으로 헌법을 개정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더욱이 토지공개념의 문제는 30여 년 전에 토지공개념이 논란될 당시와는 크게 달라진 현재의 시대적 상황에서 토지공개념이 갖는 의미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에는 의도와 다르게 새로운 혼란을 야기하게 될 우려도 작지 않다. 무엇보다 21세기 대한민국의 사회․경제적 여건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이해를 전제로 –재산권의 사회적 구속이라는 측면에서 – 토지공개념의 문제가 갖는 의미와 실현방식이 논의되어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토지공개념의 문제를 어떻게 접근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다양한 시각들이 대립하고 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토지공개념은 결국 재산권의 제약이며, 이를 근거 짓는 것은 사회국가원리에 따른 사회적 정의의 요청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토지공개념에 대한 주장의 타당성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그 판단 기준으로서 사회국가의 의미와 실현구조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토지공개념의 (도입 내지) 강화를 위해 현행 헌법 제122조에 ‘토지투기’ 방지 등의 문구를 추가로 명시하자는 주장은 아직은 더 많은 숙고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토지공개념 추가 도입이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부분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현행 헌법을 통해서도 충분히 해결될 수 있는 것을 굳이, 그것도 토지공개념의 의미를 토지투기방지로 축소하여 별도로 명문화할 경우에 얻는 것보다 잃는 것이 더 많을 수 있다는 점은 결코 가볍게 생각해서는 안 된다. 토지공개념의 추가 명문화를 통해 얻는 것이 부동산투기 억제 등과 관련하여 보다 강력한 정책의지표명을 의미하는 것에 그치는 반면에, 잃는 것은 헌법의 체계적 통일성과 일관성뿐만 아니라 다른 개헌 관련 쟁점들과의 불균형 내지 형평성 문제 등 얼마든지 확대될 수 있다는 점이 우려스러운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토지공개념과 관련하여서는 현행 헌법규정을 유지하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생각되지만, 만약 토지공개념 강화를 위해 추가로 명문화하여야 한다면 경제의 장보다는 재산권 조항인 헌법 제23조 제2항에서 같이 규율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그것이 토지재산권에 대한 강화된 사회적 구속성이라는 토지공개념의 취지와 체계에도 보다 부합할 뿐만 아니라, 경제의 장에 있을 때와는 달리 토지재산권 제한의 기준과 한계에 관한 불필요한 오해와 논란도 상당 부분 해소되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Seit der 9. Verfassungsänderung in 1987 hat die Verfassungswirklichkeit der Republik Korea viel Wandel erfahren. Die Notwendligkeit der Verfassungsänderung, die diesen Wandel gerecht wiederspiegeln sollte, findet ein breites Echo. Es wäre aber weder möglich noch wünschenswert, jeden Wandel in die Verfassungsänderung abzuspiegeln. Eine Verfassungsänderung, die einseitig nur bestimmte Auffassungen unter den verschiedenen, gegenständigen berücksichtigt, ist sehr gefährlich; einerseits sind bestimmte Teile der geltenden Verfassung unentbehrlich und unänderbar für die Funktionsfähigkeit der Verfassung. Andererseits hat die Verfassungsänderung als ihre Voraussetzung eine präzise Analyse über die Wandlungen der Verfassungswirklichkeit und einen Konsens vom Volk über ihre Richungen bzw. Inhalte.
    Insbesondere könnte der Kontroverse um die Öffentlichkeit des Grundeigentums neue unabsichtigte Verwirrung auslösen, wenn es nicht berücksicht würde, dass sie in der erheblich geänderten heutzeitigen Situation andere Bedeutung als vor 30 Jahren hat. Bei den Auseinandersetzungen mit ihrer Bedeutung und Verwirklichungsstruktur sollten vor allem exagte Anaysen und Verständnisse über die sozial- wirtschaftlichen Gegebenheiten im 21. Jahrhunndert in der Republik Korea vorausgesetzt werden.
    Um die Öffentlichkeit des Grundeigentums ist heftig gestritten. Eindeutig ist aber, dass sie Eingriff auf das Grundeigentum darstellt und dass sie auf soziale Gerechtigkeit als Idee des Sozialstaates basiert. Die genaue Wertung der divergierenden Meinungen über sie setzt deshalb das gerechte Verständnis über die Bedeutung und Verwirklichungsstruktur des Sozialstaates als ihren Maßstab voraus.
    In diesem Gesichtpunkt scheint die Behauptung, die Wörter, Pervention der “Spekulation mit dem Grundstück” zum Art. 122 der Koreanischen Vefassung zu hinzufügen, in diem Zeitpunkt wenig Überzeugungskraft zu haben. Freilich hätte die Hinzufügung einigermaßen Vorteil. Es darf aber nicht unterschätzt werden, dass sie viel mehr Verlieren als Gewinn hat. Weil die Öffentlichkeit des Grundeigentums bereits in der geltenden Verfassung ihre gesicherte Verankerung hat. Zumal stellt die Hinzufügung zum Art. 122 eine beträchliche Reduzierung der Bedeutung von der Öffentlichkeit des Grundeigentums auf die Prevention der Spekulation des Grundstückes dar; ihr Gewinn ist nicht mehr als ein Ausdruck der starken politischen Wille. Im Gegensatz dazu liegt ihr Verlieren nicht nur in der systematischen Kohärenz und Folgerichtigkeit der Verfassung. Darüberhinaus ruft sie auch Ungleichmäßigkeit und Unbilligkeit im Vergleich zu anderen Streitpunkten der Verfassungsänderung hervor und könnte diese Problematik auf andere Bereiche ausgedehnt werden.
    In diesem Zusammenhang sollt die geltende Vefassung im Bezug auf die Öffentlichkeit des Grundeigentums nicht geändert werden. Wenn die Öffentlichkeit des Grundeigentums trotzdem für die Verstärkerung ihrer Normativität zusätzlich in der Verfassung kodifizeirt werden sollte, dann sollte sie nicht in dem Kapitel der Wirtschaftsverfassung, wie etwa im Art. 122, sondern in dem Kapitel der Grundreche, im Art. 23 Abs. 2 Satz 2. Auf der einen Seite entspricht diese Art und Weise der Beduetung der Öffentlichkeit des Grundeigentums als verstärkerter Sozialbindung des Grundeigentums und dem Grundrechtssystem der Verfassung. Auf der anderen Seite räumt sie überflüssige Misverständnisse und Debatten über die Kriterien und Grenzen beim Eingriff auf das Grundeigentum im erheblichen Teil au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