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국유사》 〈기이〉편 太宗 春秋公條의 내용 구성과 의미 (The record of T’aejong Ch’unch’ugong in the Samguk yusa)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8.02
32P 미리보기
《삼국유사》 〈기이〉편 太宗 春秋公條의 내용 구성과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라문화 / 51권 / 83 ~ 114페이지
    · 저자명 : 박현숙

    초록

    《삼국유사》<기이>편 제1 가운데에서 가장 방대한 내용으로 구성된 太宗 春 秋公條를 15개의 사건으로 나누어 고찰해 보았다.《삼국유사》태종 춘추공조의 기록은《삼국사기》를 전거로 해서 많은 내용을 기록하고 있으면서도, 중국사서 및 古記類와 別記 類를 인용하여 전설이나 관련 자료를 보충하여 일정 기준에 의해 첨삭하였다.
    태종 춘추공조의 神異 기사는 백제 멸망과 관련된 흉조들을 제외하면, 태종 춘추공 보다는김유신의 神異性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삼국유사》 태종 춘추공조의 주인공은 태종 춘추공이다. 이들 기록은《삼국사기》와 중복되는 점이 많지만, 편찬자의 의도에 따라 편집ㆍ 서술되었다. 즉, 태종이라는 인물에 주목하여 많은 일화를 통해 태종 집권기의 신이성을 전하고 있다.
    백제 멸망 과정에 대한 기록은 백제 의자왕이 주색에 빠져 정사를 게을리 해서 국가를 멸망시킨 점을 부각시켜 태종 무열왕의 치적과 대비함으로써, 무열왕대가 聖代였음에 반해 의자왕대는 패망의 시기로 인식할 수 있게 해 주었다. 고구려의 위세나 불길한 징조에 위축되는소정방과 唐나라 군대를 기록함으로써 그들에 대한 적개심을 드러냈다. 또한 나라 잃은 슬픔을 타사암 전설로 그려 냄으로써, 삼국통일의 터전을 마련한 왕으로 김춘추를 인식하고그의 太宗이라는 廟號를 지키고자 하였던 것이다.
    결국《삼국유사》<기이>편에서 말하려고 한 것은 태종 춘추공 시기의 삼국통일에 대한 이야기에서 나아가, 고려 후기 聖代에 대한 희망이었다고 생각한다. 즉,《삼국유사》 태종 춘추공조를 통해 太平聖代를 갈구하고, 그 聖代를 이룬 신라의 왕으로 태종 춘추공을 기억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section of T’aejong Ch’unch’ugong, which is the most voluminous part within ‘Ki’i I’ in the Samgukyusa, dividing it into fifteen events. While much of the record of T’aejong Ch’unch’ugong in the Samgukyusa relies on the Samguksagi, the former complements the latter in the sense that some legends and sources not mentioned in the Samguksagi were added to the Samgukyusa.
    The ‘Shini’ lines of the record of T’aejong Ch’unch’ugong, with the exception of the omens relating to the fall of Baekje, place focus more on the loyalty of Kim Yushin than on T’aejong Ch’unch’ugong himself. However, the main subject of the section ‘T’aejong Ch’unch’ugong’ in the Samgukyusa is T’aejong Ch’unch’ugong. The record of the Samgukyusa, though overlapping that of the Samguksagi to a certain extent, was written and edited by the editors with distinct intentions.
    That is, they tried to describe the historical situation they were facing through a series of anecdotes with a focus on T’aejong.
    The editors emphasized King Uija’s indulgence in intemperate pleasure, to which they attributed the collapse of Baekje, and contrasted it with the achievements of King T’aejong Muyŏl. This tactic was intended to depict the region of King T’aejong as an age of prosperity and that of King Uija as an age of fall. They also wrote about the power of Koguryŏ and Su Dingfang and the Tang Empire being daunted by ominous signs, which shows the editors’ hostility toward them.
    And the editors expressed their sorrow at the fall of their country with the T’asaam legend. They recognized Kim Chunchoo as a historical figure that laid the foundation for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and in doing so tried to uphold his title as the founder.
    Thus, what the editors wanted to say in the ‘Kii I’ in the Samgukyusa is T’aejong Ch’unch’ugong’s feat of unifying the Three Kingdoms, which is a reflection of their longing for a reign of prosperity and peace in the latter period of Koryŏ. In short, they expressed their hope for an age of peace through the story of T’aejong Ch’unch’ugong and tried to commemorate him as a king of Silla who made such an achieve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