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교육적 종교교육의 정체성 모색과 ‘종교학’ 교과 (Religious Education for Public Schooling and Its ‘Science of Religion’ Curriculum)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4.02
36P 미리보기
공교육적 종교교육의 정체성 모색과 ‘종교학’ 교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종교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종교교육학연구 / 44권 / 113 ~ 148페이지
    · 저자명 : 정지아, 한명희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21세기적인 공교육 속에서 종교교육의 정체성이 추구해야할 방향을 철학적,심리학적,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모색하고, 그 정체성의 기초 위에서 고등학교의 교양교과인 ‘종교학’ 교과에 대한 바람직한 접근의 성격을 논하는 데 있다. 종교교육의 정체성 모색은 공교육 속에서 종교교육의 위상, 방향, 그리고 역할을 탐구하는 것을 의미하며 그 내용은 다음을 포함한다.
    첫째, 현재의 지성사적 흐름인 포스트 모던적 철학의 패러다임 속에서 영성의 존재론적, 인식론적가치가 공적으로 인정되고 있으며, 공교육의 종교교육은 인간교육, 전인교육, 시민교육의 일환이되어야 하는 중요한 영역으로 평가될 수 있다. 둘째, 공교육의 종교교육이 추구하는 종교성(영성)과 자아의 초월적 목표가 트랜스퍼스널 심리학의 연구와 임상적 실험을 통하여 실증적으로 확인됨으로서 종교는 바야흐로 과학과의 결합을 통해 교육의 인간이해의 영적 지평을 넓혀가고 있다. 셋째, 한국 사회의 다 종교적 상황과 높은 비율의 무 종교성, 그리고 포스트모던 문화의 무규범성과무중심성에 대한 관심은 공교육적 종교교육이 담당해야 하는 사회적 역할의 기초가 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종교교육의 정체성이 ‘종교학’교과의 방향을 통하여 이루어지기 위하여 필요한 원리는 전반의 정체성 뿐 만 아니라 종교학적 본질에 기초를 두어야 한다는 점을 설명했으며, 그 같은기초 위에서 현재의 교과 목표(임시적)를 분석 비판 하였다. 그리고 이 같은 정체성과 맥을 같이하기 위한 ‘종교학‘교과의 방향은 종교성(영성)적 접근의 원리, 궁극적 실재와 자아초월의 원리,그리고 이 셋을 포괄하는 종교 다원주의 적 원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논하였다.
    ‘종교학’ 교과의 방법적 원리는 방향적 접근과 맥을 같이 해야 하는 것으로, 네 차원에서 설명하였다. 첫째, 교과 내용과 방법이 청소년의 실존적 관심과 문제를 연계해서 전개해야 한다는 것,둘째, ‘종교학’교과 내용은 교육과정 내에 있는 종교관련 타 관련교과들의 내용과 연계해서 가르쳐야 한다는 것, 셋째, 다양한 종교들을 평면적으로 비교하기 보다는 다원주의적 대화의 원리에의해 학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 마지막으로 종교학의 교육이 주지주의적인 교육이 되지 않기 위하여 명상을 비롯한 직 간접 체험의 원리를 도입할 것을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ssential nature of religious education forKorea’s public schooling in the 21century, and its curriculum approach to ‘the Science ofReligion’, the religion subject-matter for high school. The nature of religious education isexplored by analyzing the new status of spirituality in the post-modern paradigm,trans-personal psychological perspective of human self, socio-religious conditions ofKorean society, and the problems of post-modern cultural phenomenon.
    The value of spirituality for humanity is rediscovered by post-modern paradigm, findingits important status for general education. Religious education for public schooling needsto be regarded as an essential part of education for humanity and citizenship, therebyconfirming that the kind of religious education by non-partisanship is the area that onlypublic education is able to provide. The importance of self-transcendence as an educationalaim is supported by the researches of transpersonal psychology by integrating the clinicalfindings and religious approaches, enlarging the horizon of human understandingthemselves. And the extreme multiplicity of religious affiliations of Korean people, andthe anomie state of the today’s post-modern culture also lead to the recognition ofspecial nature of educational needs for the religious education for public schooling.
    In alignment with the essential nature of religious education, ‘the Science of Religion’as religious curriculum is discussed in three aspects: First, disciplinary basis of thereligious curriculum and the present objectives of the curriculum are analyzed, in term ofthe essential nature of religious education. Second, the direction of the subject-mattershould develop on the principle of spirituality, sense of the Ultimate reality, andself-transcendence, and the perspective of religious pluralism. Finally, methodologicalapproaches to the classroom teaching are discussed in terms of educational principles such as the principles of connecting with the existential concerns and problems of thehigh school adolescence, and relating with religious curriculum contents of othersubject-matters, and principle of approaches for religious pluralism, and principles ofdirect experiences, including contemplation, visiting different religious institutions, andutilizing religion-related mdia and works of a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종교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