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적 체계로서의 복지국가의 정체성에 관한 이해 (Die Identität des Sozialstaates als öffentliches System)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17.05
20P 미리보기
공적 체계로서의 복지국가의 정체성에 관한 이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어교육 / 68권 / 68호 / 271 ~ 290페이지
    · 저자명 : 서정일

    초록

    세계 경제의 글로벌 체제화 이후 오랫동안 튼튼한 사회 안전망을 토대로 가난과 실직, 육아, 질병과 노후로부터 시민 개개인의 기본적인 삶의 여건을 보장한 유럽식 복지국가 시스템은 21세기 들면서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였다. 세계 경제의 글로벌 흐름이 가속화되면서 신자유주의 경제이론가와 정책 입안자들은 국경을 초월한 상품 교환, 초국가적인 생산과정 및 금융시스템의 작동과 맞물린 국가의 시장 개방을 통해 민영화와 탈규제화를 가속화시키면서 이른바 “날씬한 복지국가 schlankerer Wohlfahrtsstaat”를 강력히 요구하고, 그것을 불가피한 현상이라고 설파하였다. 여러 언론 매체에서도 국가 경제의 경쟁력을 약화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부득이하게 복지국가를 “수축”시킬 수밖에 없다는 이 논리를 선선히 받아들이고 있다(Dallinger 2014, 63).
    이러한 상황에 주목하여 이 논문에서는 공적체계로서의 복지국가의 정체성을 둘러싼 논쟁의 핵심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최근 전통적 복지국가 체계의 축소 내지는 심지어 ‘폐지’ 요구에 직면한 것은 복지국가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재정적 수단이 부족하다는 재정 위기론과 출산율 감소 및 고령층 증가와 맞물려 나타난 인구구조의 변화 그리고 기대수명이 높아짐에 따라 점점 많아지는 노인층을 젊은 세대가 부양함으로써 일어날지 모르는 세대 갈등 문제 등이 핵심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쟁점들에 관해 살펴보고 다른 한편으로 이 주장들이 타당한 것인지 논란이 제기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해서도 함께 고찰하고자 한다.
    한편, OECD 국가 중에서 사회 안전망이 가장 취약한 우리나라에서 복지국가의 정체성 및 복지정책과 운영에 관한 논의는 이념적 논쟁으로 흐르는 경향이 많다. 그런데 시민 개개인의 입장에서 복지국가라는 공적 체계의 확립과 운영은 ‘이념’ 문제와는 상관없게 느껴진다. 오히려 국민(시민)이 기대하는 복지국가의 모습, 미래의 나라는 어떤 국가여야 하는지에 대한 기대와 더 관련이 있다. 이 같은 맥락에서 독일을 비롯한 유럽 시민들은 복지국가에 어떤 기대를 갖고 있으며, 그 역할과 방향성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갖고 있는지, 또한 신자유주의자들의 주장처럼 기존 복지국가를 축소하자는 주장에 대한 시민들의 견해는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Das System des überkommenen Sozialstaates und Sozialwesens steht vor großen Herausforderungen. Auch infolge der Finanzkrise der letzten Jahre wird es in seinen Grundfesten bedroht. Demographische Entwicklungen setzen den Sozialstaat verstärkt unter Druck. Um die Konkurrenzfähigkeit der nationalen Ökonomie nicht zu unterminieren und auf diese Weise Arbeitsplätze zu gefährden, muss der Sozialstaat schrumpfen. Neoliberale Wirtschaftswissenschaftler unterbreiten Lösungsvorschläge für die Krise des Sozialstaates: eine Deregulierung des Arbeitsmarktes, Kürzungen im Sozialbereich sowie den “Abbau des Sozialstaates”.
    Ein anderes häufiges Argument für die “Krise des Sozialstaates” ist die demographische Entwicklung. Während die Menschen im Durchschnitt immer älter werden, sinkt die Geburtenrate schnell. Die Gesellschaft überaltert, die jungen Leute können die Lasten der älteren nicht mehr tragen. Das Argument der demographischen Entwicklung ruft insofern schon Skepsis hervor, weil man sich fragen kann, wie es dazu kommt, dass eine Gesellschaft, die immer reicher wird, es sich nicht mehr leisten kann, allen Mitgliedern eine ausreichende Grundsicherheit zu garantieren. Eigentlich müsste eine steigende Lebenserwartung als Erfolg des Sozialstaates gewertet werden. Die wichtige Rolle des Sozialstaates als Gegengewicht zu den wirtschaftlichen Kräften ist von We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어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5 오전